릴레이 이런 삶-(주) 한국개인신용(KCB) 김정인 R&D 팀장

입력 2005-07-22 09:19:51

"신용 사회로 가는 지름길 제게 맡겨 주시겠습니까"

경영학 박사인 김정인(金正仁·45·여) (주)한국개인신용(KCB) R&D팀장은 늘 연구만 해왔다. 경북대 경제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취득한 뒤 얻은 첫 직장이 국책연구소인 해양수산개발원. 그리고 12년 전 국민은행이 금융연구소를 만든 뒤 합류해 지금까지 일했다.

그런 김 박사가 이제껏 연구한 것을 현실에 적용해보려는 대변신을 하고 있다. 올 6월 출범한 KCB 호에 탄 것이 변신의 시작. KCB는 개인이 각 금융기관과 거래한 내역을 샅샅이 수집·분석해 금융기관에 제공, 금융기관들이 대출할 때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전국은행연합회에서도 개인의 신용정보를 수집·분석해 활용하고 있지만 연체나 부도 등 불량 정보만 공유하고 있다. 반면 KCB는 불량 정보뿐 아니라 돈을 많이 빌려 제때 잘 갚는 우량정보도 다룬다는 점이 다르다.

김 박사는 "신용불량자가 대거 발생해 어려움을 겪은 금융기관들이 다시는 이러한 사태를 초래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에서 KCB에 출자했다"며 "KCB는 우리나라가 신용사회로 가는 기본 인프라의 하나"라고 자부했다.

하지만 국민들의 금융거래 정보가 KCB 전산센터에 집결하므로 프라이버시 침해 논란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해 김 박사는 "KCB 직원 하나하나가 정보보호를 생명처럼 여기고 시스템으로 자율규제하고 있으므로 걱정을 할 필요가 없다"고 자신했다.

KCB에 대구은행 등 지방은행들은 참여하지 않고 있다. 한꺼번에 모든 금융기관을 참여시키기에는 업무 추진상 무리가 있어서다. 개인의 금융 소비 행태에 대해 공부해온 김 박사는 이 분야의 권위자로 꼽힌다. 그래서 참여정부가 신용불량자 대책을 마련할 때 깊숙이 관여했다.

"신불자가 3백만, 4백만 명에 이른 것은 3, 4년 전부터 가계대출 등 금융 소비가 급성장했기 때문"이라는 김 박사는 "신불자 문제가 해결되려면 낙관적으로 봐도 3~5년은 걸릴 것"이라고 했다. 신불자 대책에 대해서는 "정부는 영세 자영업자 회복 프로그램까지 제시해 이제 할 만큼 했다"면서 "경제 성장과 더불어 신불자 스스로 소득을 늘려 문제를 해결해야 하며 그 과정에서 겪는 고통은 어쩔 수 없다"고 잘랐다.

신재섭 한국전력 해외사업처 개발팀장과 캠퍼스 커플이었던 김 박사는 결혼해 시부모를 모시고 산다. 어른을 모시기가 어렵지 않으냐는 질문에 "오히려 시부모께 폐를 끼치고 있다"면서 "자녀 양육을 헌신적으로 도와주셔서 나가서 살아라는 말이 나올까 가장 무섭다"고 했다. 프로젝트를 하면 밤을 새우는 경우가 많고 지방 출장도 잦은데 시부모의 도움이 없다면 불가능한 일이라는 것.

최재왕기자 jwchoi@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