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DGIST)이 20일 임시 이사회를 열고 자체 마련한 연구원 설립 기본계획안을 최종 확정키로 했으나 이사회에서 끝내 통과되지 못했다.
DGIST는 이날 서울 롯데호텔에서 제7회 임시 이사회를 열어 오는 2009년까지 예정된 기본계획안을 심의.의결키로 했으나 기획예산처 등 관계 부처와 사전조율 미흡등을 이유로 확정이 일단 유보됐다.
DGIST가 마련한 계획안에 따르면 올해부터 5년간 3천759억의 예산을 투입, 대구시 달성군 현풍면 일대 부지 10만평에 연면적 3만평 규모의 시설을 갖추고 연구인력150명을 비롯한 200명의 인력을 확보하는 것으로 돼 있다.
이와 함께 IT융합과 BT융합, NT융합, 공공원천기술 등 지역산업과 직결되는 동시에 타 연구기관과 차별화된 소수과제에 집중하는 것을 목표로 정하고, 임베디드시스템과 핵심부품, 바이오일렉트로닉스, 디스플레이, 산업용.기능성 나노소재 융합기술, 마이크로 메카트로닉스 등 6개 과제에 대해 우선 연구에 들어가기로 했다.
그러나 이사회에서 최석식 과학기술부 차관이 예산 3천759억원 중 정부 부담액인 3천109억원에 대해 연도별 예산규모를 상세히 명시하는 것은 곤란하며 테크노폴리스 건설 일정과의 조율도 필요하다고 지적하자 이사진들이 의결을 유보했다.
예산과 관련해 관계부처인 기획예산처의 최종 승인이 없는 상태에서 자세하게언급돼 실제로 차질없이 예산투입이 이뤄질 수 있을 지 불확실하기 때문이다.
또 이사회에 참석한 조해녕 대구시장도 지자체의 부담몫 650억원 중 부지매입비500억원은 당초 약속대로 제공할 수 있지만 하부기반공사비 명목으로 책정된 150억원에 대해 부담을 느낀다고 말해 지자체와도 사전 조율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이에 대해 DGIST 관계자는 "의결이 유보되긴 했지만 일단 기본계획안의 전반적내용에는 모든 이사들이 합의를 봤으며 예산부분 내용을 수정하고 관계기관과 조율을 거친 뒤 오는 9월 이사회에 재상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DGIST 설립계획은 당초 대구시의 테크노폴리스 건설계획에 맞춰 오는 2014년까지 달성지역 30만평 부지에 1조733억원을 투입, 16만평을 우선 개발해 5만여평 규모의 연구원을 세운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지난 달 기본계획수립 용역결과 발표가 있은지 한 달 만에 DGIST내 산.
학.연 대학원 설립계획이 입법문제 등으로 유보되고 10년 계획안이 5개년 단기 계획으로 바뀌는 등 변경과 차질을 거듭해 국책사업을 졸속적이고 현실성 없이 추진하고있다는 비난을 면키 어렵게 됐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