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황실 마지막 적통 끊겨
파란만장한 이왕가의 피를 이어받은 마지막 적통 이구 씨의 타계로 전주 이씨왕실의 가계도에 다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조선 제 26대 왕인 고종(高宗)(1852-1919)는 모두 9남 4녀를 두었다.
하지만 이중에서 성인이 돼 결혼까지 한 아들은 명성황후 민씨 사이에서 낳은 2 남 순종(純宗) 척(拓·1874-1926), 귀인 장씨 사이에서 낳은 6남 의친왕(義親王) 강(堈·1877-1955), 계비인 순헌황귀비 엄씨 사이에서 낳은 7남 영친왕(英親王) 은(垠·1897-1970) 등 세 명뿐이다.
순종은 슬하에 자녀가 없었기 때문에 영친왕은 형 순종이 즉위한 1907년 황태자가 됐다. 이복 형 의친왕을 제치고 황태자가 된 것은 그의 모친 순헌황귀비가 명성황후 사후 비 중에서 최고 서열이었기 때문이다. 1926년 순종이 승하한 뒤 영친왕은'이왕(李王)'이라고 불리었다.
고종의 손자인 이구 씨는 영친왕과 이방자 여사 사이에서 태어난 둘째 아들로첫째 아들 진(晋)이 생후 8개월 만에 비명횡사해 사실상 마지막 황세손이 됐다.
마지막 황세손이라고 하지만 이름만 남은 왕실의 후손으로서 이구 씨의 인생은좌절과 실의로 가득찼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건축과를 졸업하고 국내에서 건축일을 하기 위해 63년 귀국했으나 77년 운영하던 사업이 부도가 나자 일본으로 건너가야 했다. 결혼생활도 순탄치 못해 58년 독일계 미국인의 딸 줄리아 씨와 결혼했으나 종친들의 종용으로 이혼했으며 슬하에 자녀도 없다.
어머니 이방자 여사가 일본인이라는 사실 때문에 일본의 피가 반쯤 섞였다는 시선도 그를 괴롭혔다. 1945년 일제로부터 해방을 맞았지만 이승만 정부는 조선 왕실을 인정하지 않았고 따라서 궁궐을 비롯한 옛 왕실 재산은 모두 국가 소유가 됐다.
고인은 일본 도쿄에 거주하다가 96년 11월 다시 귀국, 기자회견을 통해 "내 귀국은 아버지 영친왕이 1907년 일본에 인질로 끌려간 뒤 90년 간 지속돼온 한.일간통한의 역사에 종지부를 찍는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는 소감을 밝히기도 했다.
한편 의친왕은 모두 13남 9녀를 둔 것으로 알려졌는데 미국에 살고 있는 9남 충길(忠吉) 씨가 생존자 중 가장 연장자로 '우리황실사랑회' 상임고문을 맡고 있다. '비둘기집'으로 유명한 가수 이석(李錫) 씨는 의친왕의 11남이다.
(연합)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