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여름 휴가는 특별했다. 8박 9일의 카자흐스탄 의료봉사를 일 년에 한 번뿐인 휴가로 대신한 것이다. 카자흐스탄은 1992년 구 소련이 붕괴되면서 독립한 중앙아시아의 한 나라로 땅은 우리의 27배나 되고, 광물과 석유자원이 엄청나다고 했다.
그러나 정작 우리가 본 그 나라는 우리나라의 60년대를 상기시키는 그런 환경이었다. 숙소는 악사이(아름다운 백합)라는 이름의 교회였다. 우리를 위해 급하게 페인트칠을 한 모양이었지만 재래식 화장실에 온수는 어디에도 없고, 화장지도 무척 귀했다. 일인용 메트 위에 얇은 시트를 깔고 잠자리를 얻어 지냈지만 연일 40도를 넘는 무더위 때문에 열어두고 자는 문으로 쥐를 문 고양이가 드나들어 우리를 놀라게 했다. 낮에는 파리, 밤에는 모기와의 전쟁을 치러야 했다.
정제되지 않은 휘발유 탓인지 거리에는 매연이 심했고, 실내나 자동차에도 에어컨을 거의 쓰지 않았다. 선풍기 몇 대, 혹은 작은 창으로 이따금씩 불어주는 바람에 의존해 환자 787명과 미용봉사로 145명을 만났다. 진료는 물론 의료팀의 몫이었지만 많은 봉사자들이 진료를 도왔다. 또 통역, 접수 및 안내, 식사 당번, 이동시 운전해준 분들, 숙소에서 우리를 위해 기꺼이 일해 준 현지인들….
그러나 짧은 기간 동안 만난 이 모든 사람들로부터 우리가 배운 것은 삶의 가치는 삶의 조건에 절대적으로 지배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과거 스탈린시대 때 강제 이주당한 고려인들이 생존해 여기까지 이르게 된 것을 보아도 생명은 삶의 조건에 달려있지 않은 것임을 느끼기에 충분했다.
지금도 이곳 사람들의 삶의 조건은 너무도 열악했지만 그 열악함 속에서도 역동하는 생존을 느꼈다. 한줄기 바람에도 고마워했고, 들꽃들의 흔들거림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일용할 양식만으로도 자족했고, 몇 바가지의 따듯한 물만으로도 행복했다. 하루하루 지나면서 작은 일에서 감사의 조건을 발견하는 우리 자신들을 느끼면서 그때 비로소 우리가 지금, 여기, 이렇게 놓여진 이치가 그들을 위해 무엇을 베풀기 위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많은 것을 그들로부터 배워가는 길임을 깨달았다.
이상경 오르가니스트·공간울림 대표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