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인사위 규정 따랐을 뿐" 해명
국가인권위원회가 별정직 직원을 뽑으면서 학력제한을 둔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10일 인권위가 부산·광주 지역사무소 개설을 앞두고 지난달 중순 발표한 '별정직 공무원 채용공고'에 따르면 인권위는 4∼9급에 해당하는 지역사무소 소장과 직원을 뽑으면서 최소 고교 졸업 이상의 학력제한을 둔 것으로 나타났다.
인권위가 공고한 지역사무소장 지원자격은 △변호사 자격취득 후 7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자 △박사학위 취득 후 5년 이상 인권관련 실무경력자 △석사학위 취득 후 9년 이상 인권관련 실무경력자 △학사학위 취득 후 12년 이상 인권관련 실무경력자 △일반직(법원공무원 포함) 5급·별정직 5급 상당·특정직 5급 상당 이상으로 5년 이상 인권관련 실무경력자이다.
지역사무소 직원도 인권관련 학사학위 취득자, 전문대 이상 졸업 후 3년 이상 인권관련 분야 실무경력자, 일반직(법원공무원 포함)8급, 별정직 8급상당 또는 특정직 8급 상당 이상으로 3년 이상 인권관련분야 실무경력자로 자격을 제한했다.
9급 상당 직원은 고졸 이상의 학력 소지 후 1년 이상 인권 관련분야 실무경력을 쌓은 자만 지원할 수 있다. 지원자들은 해당 자격요건 가운데 한가지만 만족하면 지원할 수 있지만 4급은 최소 4년제 대졸 이상, 7급은 전문대 이상, 8∼9급은 고졸 이상으로 자격조건을 제한한 셈이다.
인권위는 그러나 지난달 국가기관·공기업 채용의 나이·학력 제한 직권조사를 발표하면서 수산 직렬 공무원 8∼9급 특채 지원자 요건을 '고졸 이상'으로 둔 것 등을 학력제한 사례로 밝힌 바 있다.
이 기준에 따르면 인권위의 별정직 채용기준도 명백한 학력제한을 둔 것이어서논란이 예상된다. 인권위 관계자는 "전체 공무원에 적용되는 중앙인사위원회의 별정직 공무원 채용 규정을 따랐기 때문"이라며 "중앙인사위와 협의해 다음 별정직 직원 채용 때부터는 학력제한 없이 경력만으로 선발할 수 있도록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연합)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