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쓰기·수학 기초학력 부진 초등생 줄어

입력 2005-07-07 10:09:51

남>여학생, 읍·면>대도시>중·소도시 順

읽기·쓰기·기초수학에서 국가가 정한 최저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초등생 기초학력 부진학생 비율이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학력 부진학생 비율은 읍·면지역, 대도시, 중·소도시 순으로 높았고 대부분 영역에서 남학생 비율이 여학생보다 높았다.

교육인적자원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지난해 10월 전국 초등학교 3년생의 3%인 685개교, 2만3천309명을 대상으로 '2004년 초등 3학년 국가 수준 기초학력 진단평가'를 실시해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6일 밝혔다.

이 평가는 국민 기초학력 보장책을 마련하기 위해 초등 3년생을 상대로 2002년부터 실시하는 것으로, 기초학력은 학교수업과 사회생활에 기초가 되는 언어능력(읽기·쓰기)과 수리력(기초수학) 등 '3R'의 영역에서 최소한 성취해야 하는 성적이다.

◇기초학력 부진학생 비율 대체로 줄고 남>여, 읍·면>대도시>중·소도시 = 읽기 영역의 부진학생 비율은 2002년 3.45%에서 2003년 3.24%, 지난해 2.89%로 떨어졌고 쓰기는 2002년 3.00%에서 2003년 3.77%로 증가했다가 지난해 2.75%로 1.02%포인트 감소했다.

기초수학 부진학생도 같은 시기를 비교해 6.84%→5.18%→4.63%로 하향곡선을 그렸다. 성별로도 전년 대비 △읽기 남 4.50%→4.06%, 여 1.80%→1.59% △쓰기 남 5.70% →4.06%, 여 1.56%→1.30% △기초수학 남 5.36%→4.41%, 여 4.96%→4.87% 등으로 모두 부진학생 비율이 감소했다.

그러나 남학생 부진학생 비율이 대부분 영역에서 여학생에 비해 높은 가운데 기초수학에서 남·여 역전 현상이 생겨 눈길을 끌었다. 지역별 부진학생 비율은 읍·면지역이 읽기 5.19%→3.87%, 쓰기 6.35%→4.19%, 기초수학 8.15%→7.60% 등으로 줄어 감소율이 두드러졌으나 대도시(읽기 2.71%, 쓰기 2.59%, 기초수학 4.25%)나 중·소도시(읽기 2.80%, 쓰기 2.51%, 기초수학 4.19%) 에 비해서는 여전히 높아 도·농간 학력 격차 해소가 시급함을 보여줬다.

교육부는 이 결과를 외국 학업성취도와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미국은 4학년학생의 기초학력 부진 비율이 읽기 36~37%, 쓰기 14%, 수학 23%이고 영국 11세 학생의 '기대 수준 부진' 비율이 국어 22~24%, 수학 25~26%라고 설명했다.

(연합)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