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역사교과서' 제2기 역사공동위 과제 수용

입력 2005-06-08 11:17:41

일본 정부가 '역사교과서' 문제를 연내 재개될 예정인 제2기 한·일 역사공동연구의 과제로 삼기로 방침을 전환, 한국과 조정에 들어갔다고 마이니치(每日)신문이 8일 보도했다.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는 이달 열리는 한·일 정상회담에서 이 같은 방침을 밝힐 것으로 전해졌다.

신문은 역사공동연구위의 전체위원회인 '역사공동연구위원회' 아래 전문분과회를 설치한 뒤 대상을 정해 공동연구를 실시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면서 양국이 세부대상 협의에 착수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다만, 일본 정부는 연구는 하되 연구성과를 추후 교과서 기술에는 반영시키지 않는 것이 전제라는 입장을 한국 측에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은 지금까지 독도의 일본 영유권을 주장하고 근·현대사의 광범위한 분야에서 역사를 왜곡 기술한 것으로 드러난 후소샤(扶桑社) 교과서는 물론 다른 교과서에서의 강제연행 및 종군위안부 기술 삭제 등을 대상으로 왜곡실태를 조사하자는 입장이었다.

반면 일본 측은 교과서의 편집권은 해당 출판사 측에 있으며 정부는 개입할 수 없다는 입장을 견지해 왔다.

그러나 일본 정부가 입장을 전면 전환하고 나선 것은 고이즈미 총리가 야스쿠니(靖國)신사 참배를 강행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이를 만회할 카드가 필요하다는 판단 때문인 것으로 관측된다.

일본 외무성과 문부과학성은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신사 참배중단을 촉구하는 한국과 중국의 압력이 거세지자 '역사교과서' 카드를 준비해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아울러 일본 정부는 교과서 기술에는 반영시키는 않는 것을 전제로 공동연구에 응함으로써 자칫 골치 아픈 외교사안으로 비화할 수 있는 '역사교과서' 문제를 털고 가자는 속셈도 있다는 분석이다.

공동연구에서 일본 정부는 한국 교과서가 "일본의 식민지 탄압을 과도하게 기술, 반일감정을 부채질하고 있다"며 역공을 펼치고 나설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고 외교 관계자들은 지적했다.

앞서 지난 1일 공표된 제1기 역사공동연구 보고서에서 일본 측은 을사조약과 한·일병합 조약이 합법적이었다고 주장하는 등 각종 조약체결과 식민지배, 임나일본부설 등에서 양국은 현저한 인식차를 드러냈었다.

(도쿄연합)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