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특구 지정으로 관광객 늘고 특산품 잘 팔려

입력 2005-06-08 09:26:40

지난해 말 처음으로 지역특화발전특구로 지정된 지역에 관광객이 몰리고 특산품 매출이 늘어나는 등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재정경제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30일 처음으로 지정된 6개 지역특화발전특구 중 하나인 전북 순창 장류산업특구는 5월 현재 장류 관련 매출액과 관광객을 잠정 집계한 결과 매출액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22%가 늘어난 110억 원, 관광객은 25% 증가한 10만여 명으로 각각 추산됐다.

전북 고창 복분자산업특구의 경우 특구지정 이전보다 복분자 재배면적이 2배로 늘었는데다 신규 가공업체 입주가 증가했고 복분자 가공품과 복분자 사료를 먹인 축산품의 판매가 20∼720% 늘어났다.

전북 고창 경관농업특구는 청보리와 유채 등 농업지구 면적이 30㏊ 늘었고, 관광객 수는 10만 명, 농·특산물판매도 6억8천300만 원 증가했다.

전남 순천국제화특구에는 초·중·고교에 외국인 교원 29명이 배치되는 등 외국어교육이 활성화되고 있다.

대구 중구 약령시 한방특구의 관광객 수는 100% 늘었으며 한약 도매상에 공동관리약사를 채용할 수 있는 특혜가 주어져 매달 7천800만 원의 경비를 절감하고 있다.

재경부 관계자는 "오래전부터 특산품 개발이나 특화개발을 추진해온 곳들이 지역특구로 지정되면서 그동안 개발에 장애가 된 규제가 풀렸고 이는 관련 산업의 성장으로 이어졌다"고 평가했다

지역특구는 정부가 토지, 교육, 농업 등과 관련된 각종 규제를 풀어줘 지방자치단체가 지역특성에 맞는 개발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도다.

(연합)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