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박창규 교수팀 발표
55세 이상 고혈압 환자 10명 가운데 2명은 10년 뒤에 뇌졸중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려대 의대 박창규 교수팀이 전국의 37개 종합병원 순환기내과의 55~85세의 고혈압 환자 1천721명을 대상으로 국내 처음 뇌졸중 위험도를 예측한 결과로 지난 2일 서울에서 열린 '제4회 아-태 고혈압학회'에 발표됐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10년 후 뇌졸중을 일으킬 가능성은 남자 고혈압 환자가 22% (제1기 고혈압: 22%, 제2기 고혈압: 22%), 여자의 경우는 20%(제1기 고혈압: 17%, 제2기 고혈압: 23%)인 것으로 나타났다.
1기 고혈압은 수축기 혈압 140~60mmHg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100mmHg 사이를 뜻하며, 제2기 고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6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이 100mmHg을 넘는 경우다. 이 연구에서 연령별로 10년 후 뇌졸중의 위험도가 60대 환자의 경우 13~17%, 70대는 21~27%, 80대는 34~43%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에 참여한 고혈압 환자들의 경우 10명중 3명은 고지혈증을, 2명 정도는 당뇨병을 함께 갖고 있었으며, 절반 이상이 고혈압 외에도 심근경색과 협심증 등 다른 순환기계 질환을 동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교영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