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교통 살리기 함께 갈 수 없나

입력 2005-06-06 11:39:00

대구 앞산에 터널을 뚫는 상인~범물 민자 도로 건설과 관련 환경영향평가 검토서가 부실하다는 지적이 다시 제기됐다. 경실련을 비롯한 시민단체는 도로 계획 구간 일대에서 환경 영향을 조사한 결과 민자 도로 사업주가 검토서에 희귀한 식물종과 중요 지표종을 빼고 조사 구간도 사업 노선을 중심으로 500m만 정해 생태적 영향권을 외면했다며 사업타당성 여부를 다시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산 터널을 놓고 극심한 시각차를 보이는 대구시와 환경'시민단체의 주장은 모두 타당성이 있다. 환경 파괴와 대기 오염은 교통 체증에 따른 당장의 고통보다 더 큰 피해를 준다는 환경단체의 주장은 이론의 여지가 없다. 터널을 뚫을 경우 계곡물과 지하수의 고갈이 예상되고, 벌목으로 생태계가 파괴돼 대구 사람들의 심장인 앞산이 더 이상 제구실을 하지 못한다는 경고는 당연하다.

앞산순환도로와 신천대로 등의 교통량을 분산하지 않을 수 없다는 대구시의 주장도 설득력이 있다. 게다가 달성 2차 산업단지와 테크노폴리스의 건설로 예상되는 통행량의 폭증을 감안할 경우 도로건설을 미룰 수만은 없는 형편이다. 첨단공법으로 환경 훼손을 최소화하는 조건으로 길을 내겠다는 계획은 시민의 살림살이를 맡고 있는 대구시로선 당연히 해야 할 일이다.

환경이 우선이냐, 교통 수요의 충족이 우선이냐를 놓고 벌이는 대구시와 환경단체의 주장 모두 일리가 있다면 해법은 결국 양 주장의 합치점을 찾는 데 있다. 환경 훼손을 최소화하는 대신 교통 수요를 분산 할 수 있는 묘책을 찾기 위해선 도로 건설을 다소 미루더라도 세밀한 환경 조사에 나서야 한다. 그래야 앞산은 언제까지나 교통 체증의 짜증과 찜통 같은 더위를 함께 식혀 줄 대구시민의 허파로 남을 수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