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장 찾은 김형용·정이근씨…단 열흘 훈련 死地로
6·25전쟁이 발발한 지 벌써 55년이 흘렀다. 당시 참전한 청년들은 모두 70, 80대 노인이 됐다. 이들 기억 속의 전쟁은 어제의 일처럼 생생하다. 다부동 전투, 가장 치열한 그 전투에서 살아남은 용사를 만났다.
△그때의 일기장
'목수가 끌로 나무를 파듯 총검으로 땅을 팠다. 공사가 완전히 완료되었을 땐 총검이 닳아빠져 못 쓸 정도였다. 흙이 얼어붙으니 돌과 같이 야물었는데 땅 파기는 여간 어렵지 않았다…(중략)… 밤은 고요히 잠들었다. 이따금 인민군들이 떠드는 방송 소리가 들릴 뿐. 나는 OP(관측초소)에서 이 밤도 무사히 지나게 하여 주시옵소서 하고 비는 마음 금치 못하면서 깜박거리는 등불만 바라보고 있었다(중략)… 122mm 포탄이 내가 들어 있는 관측호 위에 1발 명중됐다. 사방이 먼지가 자욱한데 계속 떨어졌다. 너무나 맹렬한 적의 포 사격에 엄체호는 다 부서지고 몸을 피할 곳 없어지고, 갖다두었던 수류탄은 엄체호와 같이 다 적군으로 인하여 없어지고 말았다. 한두 발의 수류탄밖에 없는 고로 자신의 생명보다 소중하였기 때문에 함부로 적 1, 2명을 보고 던질 수도 없었다.(김형용 할아버지의 일기장에서)
△다부동 그 혈전의 현장
군번 2704544. 1사단 15연대 2대대 7중대 소속. 6·25 전쟁 발발 당시 김천 봉계초등학교에서 교편을 잡고 있었던 김형용(76) 할아버지는 기억에 잠겼다.
"선생질하면 군대 안 가도 됐어. 근데 나 혼자 편하자고 도망칠 순 없는 거잖아. 그 어린 학생들도 다 조국을 위해 소년병으로 자원하는데… 안 갔으면 평생 부끄러워 얼굴도 들지 못했을 거야."
1950년 7월 20일 남산초등학교에서 10일간의 짧은 훈련을 끝으로 구미 임동 서부초등학교 뒷산에 투입됐다. "이곳이 터지면 대구가 무너진다"는 소대장의 말에 정신을 다잡았다. 그 해 8월 초 경북 칠곡군 가산면 다부리. 북서쪽 유학산과 동쪽의 가산 산등성이에는 북한군으로 꽉 차 있었다. 연일 계속되는 복병전은 필설도 표현 못 할 정도로 잔인했다.
"낮에는 우리가 고지를 점령하고 밤이 되면 빼앗겼지. 미군 항공기가 낮에는 우릴 도와줘도 밤만 되면 힘을 못 쓰잖아. 깜깜한데 다 죽일 수는 없고. 칼 하나 차고 쳐들어갔지. 머리카락이 짧으면 찔러야 했어. 우리가 사는 방법은 그것뿐이었지."
김 할아버지는 피로써 막아낸 다부동 그 혈전을 잊을 수 없다. 북한군이 제3, 13, 15사단 등 5개 사단을 왜관 다부동에 집중 투입해 방어선 붕괴에 나섰지만 결국 실패했다. 아침나절 같은 주먹밥을 먹던 전우가 숨지는 것을 여러 차례 보아야했던 그때. M-1총은 연발이 안 돼 발로 밟아 한 발 한 발 쏘았던 그때가 지금도 괴롭다. 기억이 따끔거린다.
△이제 더 이상의 전쟁은 안돼
"한번 전투가 벌어지면 산이 2, 3m 낮아질 정도로 포탄을 쏴 댔어. 포구가 벌겋게 달아오를 때까지 쏘고 또 쏘고 하다 보면 정신을 잃는 거야. 전우가 쓰러지면 미쳐서 날뛰고… 그때 정포대에 있던 군인 중에 귀먹지 않은 사람 없어. 나도 왼쪽 귀는 안 들리니까."
다부동전투에서 105mm 곡사포를 다뤘던 정이근(75) 할아버지는 당시를 띄엄띄엄 회상하며 말문을 열었다. "보통 배낭에 총까지 짊어진 전우들은 비스듬히 누워 휴식을 취했어. 어느 날 저 멀리 몇백 명의 군인들이 그 자세로 땡볕에서 쉬고 있는 거야. 반가운 마음에 고래 고함 질렀는데 알고 보니 모두 시체였어. 아군과 적군이 뒤섞여 있는…."
열살을 갓 넘은 북한군 아이도 피를 흘리며 쓰러져 있었다. 피난길에 인질이 된 여자, 아이들이 셀 수도 없이 널브러져 있었다. "이제 다시 전쟁은 안돼. 같은 민족끼리 그 무슨 짓이야.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우리 전우들, 지금 세대가 따뜻하게 안아 줘야해. 누구 때문에 이렇게 살고 있는데…. "
서상현기자 ssang@imaeil.com
사진: 다부동 전투에 참가했던 김형용 할아버지가 경북 칠곡군 가산면 다부동전적기념비 앞에서 전우들의 이름을 찾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