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풍일대 R&D 특구지정 필요

입력 2005-05-02 14:11:18

지역 혁신사업 과제는

DGIST가 2일 현판식 및 출범식을 갖고 '멀지만 희망 찬' 항해에 들어갔다.

입지를 대구테크노폴리스 예정지인 달성 현풍으로 확정하고, 이날 출범식을 가짐으로써 지역사회는 이제 'DGIST 성공'과 '테크노폴리스 조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아야 하는 과제를 떠안게 됐다.

우선 DGIST가 그저 그런 정부출연 연구소의 하나로 전락하지 않기 위해서는 국가 R&DB(연구·개발 및 상용화) 체계 내에서 독자적인 위상을 인정받아야 할 필요가 있다.

범정부적 차원에서 정부출연연구소의 구조조정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마당에 새로 DGIST를 설립하는 데에는 나름대로 존재의 이유가 분명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가 지정한 차세대 10대 성장동력사업 중 지역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임베디드' '디스플레이' '미래형 자동차' '디지털TV' 등이 주요 후보 분야. 이 분야에 관한 국책연구를 DGIST를 중심으로 대구경북이 전담하게 되면 관련 기업 및 연구소의 유치 등을 통해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데 큰 힘을 받게 될 전망이다.

대구테크노폴리스 조성에는 더 큰 어려움이 있다.

과기부 R&D특구법 시행령 안(案)에는 특구지정 요건으로 '국립연구기관이나 정부출연연구기관 3개 이상' '과학기술연구기관 40개 이상' '이공계 대학 3개 이상'을 제시하고 있다.

앞으로 공청회와 정치적 협상을 통해 R&D특구 지정 요건이 완화되더라도 현풍 일대가 R&D특구로 지정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대구시는 경북대와 계명대 이공계 대학이 테크노폴리스 예정지로 이전하기를 바라지만, 테크노폴리스에 대한 확실한 비전(?)을 보여주기 전에는 실현성이 떨어진다는 분석이다.

DGIST와 테크노폴리스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이 부족한 것은 더 큰 문제다.

산학연 클러스터를 제대로 갖추려면, 상당한 혁신역량을 보유한 중견기업 이상의 참여가 절대적으로 필요한데 아직은 미미한 실정이다.

테크노폴리스 기반조성도 이제부터 시작이다.

지난해 6월 한국토지공사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지만, 토공이 실제 개발에 참여할지는 타당성 조사 결과를 기다려봐야 한다.

또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월현도시고속도로(4천63억 원), 현풍IC-테크노폴리스 간 도로확장(150억 원), 국도 5호선 우회도로(2천50억 원), 국도5호선-테크노폴리스 간 도로건설(220억 원) 등에 국비 지원을 어떻게 따내느냐는 것도 해결해야 할 난제다.

석민기자 sukmin@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