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과거사 위원장에 이해동 목사 내정

입력 2005-04-29 14:19:19

재야 민주화운동 원로, 軍과거사 진상규명 의지 주목

재야 민주화운동의 원로인 이해동(71·현 덕성여대 이사장) 목사가 오는 5월에 출범할 예정인 군(軍)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 위원장으로 내정된 것으로 29일 전해졌다.

국방부는 이 목사를 포함해 민간인 전문가 7명과 군 내부인사 7명 등 총 14명으로 구성된 과거사진상규명위를 다음달 출범시켜 실미도 사건과 녹화사업 등에 대한 진실규명 작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군 과거사진상규명위 위원장에 민간인이, 그것도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으로 옥고를 치른 1970, 80년대 민주화운동 인사가 내정된 것은 군내 과거사 청산 작업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국방부의 의지가 담긴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 목사는 29일 "아직 위원회가 공식 출범하지 않은 상태에서 견해를 밝히기가 어렵다"며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그는 그러나 실미도·녹화사업 이외의 군내 의혹사건에 대한 조사 여부와 관련, "의혹이 있으면 조사를 해야 할 것으로 본다"며 조사대상 확대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 목사를 제외한 6명의 군 과거사진상규명위 민간위원에는 재야 법조계, 언론계, 학계 등 각계 인사들이 내정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목사는 박정희 정권의 유신통치가 극에 달했던 1976년 3월 1일 김대중 전 대통령 등 10여 명이 이른바 명동성당에서 유신철폐를 주장하는 선언문을 낭독한 '3·1 민주구국선언사건'으로 290여 일간 첫 번째 옥고를 치렀다.

이어 그는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은 물론, 한승헌 전 감사원장, 한완상 대한적십자사 총재 등과 함께 또다시 투옥돼 1년 만인 1981년 5월 석방됐다

이 목사는 이후에도 '인권목회자동지회' 회장, '베트남전 민간인학살 진실위',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학살 진상규명위' '민주화기념사업회' 등에 참여, 인권 및 평화운동을 활발히 벌여왔다.

(연합)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