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美 정상 조기 회담으로 현안 풀어야

입력 2005-04-23 11:22:03

노무현 대통령과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 간 정상 회담이 오는 9월로 예정됐으나 양국 정부는 6월 이전으로 앞당겨 개최하는 방안을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까지 불거진 그간의 한'미 간 불협화음을 두고 새로운 조율이 요구되고 있음을 양국은 감지했고 따라서 양국의 동맹 관계 재확인도 어느 때보다 시급하다는 판단 때문인 것 같다.

북핵 문제뿐 아니라 주한 미군의 역할 재조정 등 한'미 간 현안들은 모두 우리에게는 굵직하다. 그렇지만 양국은 그럴 때마다 알게 모르게 삐걱거렸고 다른 목소리로 서로를 민망하게 한 적도 있다. 여전히 교착 상태에 빠진 6자회담을 둘러싸고 미국은 북한에 경제 제재 가능성을 말했지만 우리 정부는 반대 입장을 밝혔다. 미국은 또 북핵을 유엔 안보리에 보내자고 은근히 으름장을 놓자 역시 우리 정부는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것뿐인가. 주한미군 소속 한국인 고용원의 해고 논란, 전시폐기물자(RASA-K) 프로그램 폐기, 방위비 분담 문제 등 크고 작은 마찰들이 연이어 터져 나왔다. 여기다 노 대통령의 최근 '지식인의 친미적 사고 걱정' 까지 불거져 나와 한'미 간 묘한 기류를 증폭시켰다.

우리 정부도 이런 낌새를 느꼈는지 한'미 간 동맹 관계는 변함 없다고 강조하고 나섰다. 양국의 전통적인 관계와 최근 일련의 심각한 견해차를 고려하면 정상회담 조기 개최는 매우 적절하다. 지난해 11월 칠레의 정상회담 때 보여준 두 정상의 결속을 한국과 미국의 국민들은 생생히 기억하고 있다.

지금 북한은 핵실험을 준비하고 있다는 보도도 나오고 있다. 그것이 속임수이든 아니든 북핵은 한반도 평화에는 하등 보탬이 될 수 없다. 북핵 문제를 위시해 한'미 간 쌓인 현안이 두 정상의 조기 회담으로 조속히 풀리길 희망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