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지하철 2주기 맞아 국회에서 정책 세미나 열려

입력 2005-02-16 16:45:24

"국립 위험통제관리소 설립을"

지하철 참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고시 능동적으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마련과 국가적인 위험통제를 위한 '국립 위험통제 관리소' 설립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국회에서 제기됐다.

대구 지하철 참사 2주기를 맞아 16일 한나라당 박성범 의원이 마련한 '지하철 화재사고와 사회위험 관리' 정책 세미나에서 이재열 서울대 교수(사회학과)는 "대구 지하철 화재사고의 사건구조는 복합적 사고였고, 자동운행시스템과 기관사의 자율성이 떨어졌으며, 시스템 설계의 문제점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특히 누전에 의한 대규모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 '자동 전원차단 시스템'은 오히려 1080호 전동차의 탈출을 방해했고, '자동방화벽' 역시 화재대피 승객의 탈출구를 차단했으며 '마스터 키(master control key)'는 배터리 전원을 차단, 승객의 전동차 탈출을 방해하는 등 "의도한 기술이 의도치 않은 결과를 낳았다"고 이 교수는 지적했다.

그는 또 "조직과 조직이 '긴밀한 연결(tight coupling)'로 결합되는 것보다 네트워크에 의해 '느슨한 연결(loose coupling)'로 결합돼야 단위 조직의 독자성과 타 조직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나 협조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지만 대구지하철은 '긴밀한 연결'구조였다"고 주장했다.

김원국 서울대 안전·방제센터 연구교수는 "우리나라는 아직 국가적 위험통제를 위한 제도가 마련되지 않았다"며 "가칭 '국립 위험통제 관리소'를 설립, 위험성 평가방법을 개발하고 방화사고 방지를 위한 특별대책 프로그램을 가동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수경 서울산업대 교수(안전공학과)는 지하철 안전성 제고를 위해 △성능기준의 설계(performance based design)를 통한 설비안전 확보 △사고시 능동적으로 신속 대처할 수 있는 교육 및 훈련 △소방방재청을 중심으로 설비적 안전과 교육적 대책 마련 등을 제안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