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서도 '녹색전쟁' 대비를
지구 온난화의 주 원인인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의 국가별 배출량 감축을 골자로 한 '교토의정서'의 본격 발효((16일)를 앞두고 '온실가스 감축 시대'에 대비하자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교토의정서 발효 과정 등을 모니터링해온 포스코는 오는 2008년까지 8천900억 원을 투자, 지난해 5천800만t 이었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8% 정도 줄일 방침이다.
장기적으로는 유럽연합 철강사와 공동으로 고로에 투입하는 석탄량을 원천적으로 줄일 수 있는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INI스틸과 동국제강도 벙커C유 대신 액화천연가스로 바꾸는 등 에너지 줄이기에 나설 계획이다.
대구에너지시민연대는 17일 대구 흥사단 강당에서 '교토의정서 발효기념 시민토론회'를 갖고 온실가스의 심각성과 이를 줄이기 위한 방안에 대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날 발제자인 계명대 김해동 환경학부 교수는 "교토 의정서가 발효되면 국내산업뿐 아니라 실생활 전반에도 엄청난 변화가 초래될 것"이라며 "특히 대구지역은 도시열섬효과가 심각하고 기상재해에 취약한 분지지형이어서 화석연료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시급하다"고 했다.
우리나라는 급격한 도시화·산업화에 따라 도심온도 상승률이 지난 100년간 지구평균온도 상승수준(0.3~0.6℃)을 초과해 1.7℃나 치솟는 등 온실가스 감소 대책이 더욱 시급하다는 것.
구영수 대구시환경정책과장은 "대구시는 2010년까지 전 시내버스를 CNG버스로 교체하고 지역난방공사, 열병합발전소 등 온실가스를 대량 발생하는 업체들의 오염물질배출량을 제어하는 등의 대책을 시행하고 있다"며 "특히 전체 온실가스 배출의 80%를 차지하는 자동차 사용량을 줄이고 자전거 타기, 카풀제를 권장하는 운동을 벌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교토의정서는 1997년 154개국이 채택한 국가간 협약으로 △선진국들에 대한 구속력 있는 감축목표 설정 △국제 배출권 거래제 △공동이행제도 △청정개발제도 등 국제적 협력을 통해 온실가스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3년부터 의무감축대상국에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
포항·이상원기자 seagull@imaeil.com 최병고기자 cbg@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