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꾸는 잉구베이타,
그 한마디 십년 전부터
내 귓전을 맴돌고 있다.
잉구베이타, 그는 누구일까,
어디에 살고있을까,
나이는?
잉구베이타 잉구베이타,
그가 꾸는 꿈을
한 번 나는 보고 싶구나, 글쎄
한 번 보고 싶구나,
꿈꾸는 잉구베이타,
그 한마디 십년이나 왜
내 귓전을 맴돌고 있을까,
김춘수 '잉구베이타'
인간은 뭘까, 시는 뭘까, 질문하고 대답하는 과정에서 시는 탄생하는지도 모른다.
또 어떤 말은 예감의 광휘에 휩싸여 시인의 영혼을 며칠 동안, 아니, 10년을 따라다니다가 어느 날 사뿐 나비처럼 지상에 내려앉는지도 모른다.
'잉구베이타'는 '인큐베이터'인데, 시인은 그 표준말도, 말뜻도 모른 채 오래 옹알이해 왔다고 한다.
하니 이 시는 의미보단 무의미, 소리의 울림, 리듬을 따라가 본 무의미시쪽이라 할까. 시인은 모든 것을 다 알 필요가 없고 오히려 시인이 창조해 낸 말들이 다 시가 되어야 한다고 말씀하신다.
일찍이 이데올로기의 허위성을 깨치시고 무의미시를 탐구하다가 마침내 '꿈꾸는 잉구베이타'의 아가인 평화로운 미숙아로 돌아가신 대여 김춘수 시인이시다.
박정남(시인)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