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즈(후천성면역결핍증) 환자의 조기 사망에따른 사회적 비용이 전체 국민진료비 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양봉민 교수는 질병관리본부의 자료를 분석, 에이즈 환자가 발병한 지 3.6년후 사망하는 것으로 가정했을 때 환자 1명이 평균 386만원의생산가능액을 기회비용으로 잃고 있다고 9일 밝혔다.
유엔에이즈퇴치계획(UNAIDS)의 자료를 토대로 추산된 국내 에이즈 환자수 7천94 5명에게 적용하면 3조700억원으로 이는 국민진료비의 8%에 달한다고 양 교수는 설명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30대 남자의 1인당 에이즈 진료비는 6억5천여만원으로 추산되며 이중 진료비 등 직접비 비율은 15.5%에 그쳤지만 조기 사망으로 인한 생산가능액 손실 등 간접비는 84.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서는 특히 생산성이 높은 20~30대 감염자들의 조기 진단과 치료를 달성하지못한다면 간접비의 증가로 향후 에이즈의 사회적 비용이 급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양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를 오는 11일 보건복지부와 유엔개발계획(UNDP) 한국지부 주최로 열리는 제7차 에이즈 국제심포지엄에서 발표할 예정이다.(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