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이총리 퇴진위해 강경투쟁

입력 2004-11-03 10:17:05

한나라당은 '이해찬(李海瓚) 총리의 퇴진 없는 국회 정상화 불가'라는 초강경 노선을 선택했다.

지역별로 시국토론회를 개최하는 등 장외투쟁과 함께 국회에서 이 총리 망언 규탄대회를 개최하기로 했다.

2일의 주요당직자 회의와 확대 원내대책회의, 의원총회를 거쳐 내린 결론이다.

이날 의원총회에서는 국회 파행이 장기화되면 한나라당도 여론의 비난을 피할 수 없는 만큼 총리 해임건의안 제출과 동시에 등원해 표결처리하자는 조기 등원론이 제기되기도 했다.

그러나 명분 없는 등원은 지지층의 이탈과 함께 투쟁력의 저하를 가져올 뿐이라는 강경론에 밀려 이렇다 할 힘을 쓰지 못했다.

김덕룡(金德龍) 원내대표는 "의회정치와 정당정치 자체를 부정하는 총리와는 국정을 논의할 수 없다"며 "사과로 문제를 해결할 단계는 지났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한나라당의 강경투쟁 방침 선언에는 강경파는 물론 온건성향의 중진의원까지도 지도부에 강력대응을 촉구하고 나선 것이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

중도성향 의원들의 모임인 '국민생각'의 맹형규(孟亨奎) 대표는 "유감표명이나 사과하는 수준 가지고는 안 된다"면서 "그런 기본이 안된 이 총리는 그만두게 해야 한다"고 말했고, 강재섭(姜在涉) 의원도 "(여권에) 강력하게 경고해서 정신을 차리도록 해야 한다"고 가세했다.

한나라당이 이처럼 여론의 비판이라는 위험부담을 안고서까지 강경투쟁 노선을 택하게 된 것은 이 총리의 유감표명을 받아들일 경우 한나라당이 여당에 밀리고 있다는 인상을 주면서 헌재의 수도이전 위헌판결로 간신히 잡은 정국 주도권을 놓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으로 보인다.

여기에다 현재 각종 여론조사에서 국회 파행 사태의 책임이 이 총리에게 있다는 의견이 높게 나오는 등 여론도 한나라당에 우호적이라는 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한나라당은 남경필(南景弼) 원내수석부대표 등 항의방문단을 청와대에 보내 노무현 대통령에게 '이해찬 국무총리 파면요구서'를 전달한 데 이어 3일에는 시·도지부별로 시국 토론회를 개최, 의원들이 지역구 주민들에게 이 총리 파면요구의 정당성을 선전하고 4일에는 국회 대회의장에서 '이 총리 망언 규탄대회'를 열기로 하는 등 본격적인 투쟁에 들어갔다.

이 같은 한나라당의 움직임으로 미뤄 6일째를 맞고 있는 국회 개점휴업 사태는 적어도 이번주 내로는 풀릴 가능성이 매우 낮다는 것이 정치권의 대체적인 전망이다.

정경훈기자 jgh0316@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