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철 '대구 지상화' 결정났다

입력 2004-10-27 11:28:05

"내년 실시설계 착수" … 심의위, 市에 건의

경부고속철도의 대구도심 통과방식이 사실상 지상화로 결정났다. 이에 따라 정부의 지상화 실시설계 작업과 병행해 대구시가 고속철건설기획단 구성에 나서는 등 오는 2010년 완공예정인 제2구간(대구~경주~부산) 고속철 건설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건설교통부와 한국철도시설공단 측은 이르면 내년말까지 지상화 공사를 위해 공사방법과 범위 및 지장물 조사, 보상범위 등을 정하기 위한 실시설계 작업에 착수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대구시도 정부 측과 협의창구로 고속철 기획단을 구성해 국비지원 효율화와 16㎞의 측면도로, 17㎞의 완충녹지, 20㎞의 방음벽, 13군데의 입체교차시설 신설 또는 개량, 철길주변 정비 및 개발, 주민 피해최소화를 위한 자료 등을 마련할 방침이다.

26일 고속철도 대구도심통과방안 심의위원회는 '지상화와 지하화'를 둘러싸고 논란을 빚어온 고속철의 대구도심통과 방식 공청회를 갖고 고속철 주변 개발을 전제로 한 지상화 방안을 최적으로 결론짓고 27일 오후 대구시에 건의서를 전달했다.

심의위는 이날 지상화 관련 찬반주민 등 1천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대구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공청회 결과를 분석, 지상화안을 선택하고 지상화할 경우 도심분리, 소음 등 부작용과 철길 주변주민들의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도 함께 제시했다.

27일 건의서를 넘겨받은 대구시는 이달 말까지 도심통과 방안을 최종 결정하고 11월초 건교부와 한국철도시설공단에 통보할 예정이다. 대구시가 지상화를 선택할 경우 지난 10여년에 걸친 '지상화, 지하화 논쟁'은 막을 내리게 된다.

그러나 이날 지상화를 반대하는 주민들은 "지상화는 도심의 남북 분단을 고착화할 뿐만 아니라 철길주변 주민들의 소음과 진동피해는 물론 전자파 등 막대한 피해가 우려된다"면서 "대구장래를 위해 지하화가 바람직하다"고 강력 반발했다.

반대주민들은 또 "대구시가 이미 지상화로 결론을 내린 뒤 요식행위로 공청회를 한다"고 지적하고 "대구시가 지난해 지하화를 결정하고 다시 지상화로 변경하는 것은 시 행정의 공신력 없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한편 경부고속철도 대구도심통과 지상화반대대책위원회 측은 심의위원회의 지상화 결정과 관련, 27일 대책모임을 갖고 지상화 결정과정의 하자와 적법성 등에 대한 소송제기 여부 등 향후 투쟁 방향을 결정키로 했다.

정인열기자 oxen@imaeil.com

사진:26일 오후 대구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고속철도 대구도심 통과방안 시민공청회에서 심의위의 설명이 끝나자 지상화 반대 측 주민들은 야유를 보내는 반면 찬성 측 주민들은 박수를 치고 있다. 이상철기자 finder@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