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오전 1시 46분께 강원도 철원군 최
전방 철책선 일부가 절단된 현장이 포착돼 군 당국이 북한군 침투 가능성에 대비해
비상경계 태세에 돌입했다.
육군에 따르면 이날 열쇠부대 소속의 박모 상병이 비무장지대(DMZ)를 순찰하던
중 북한군의 침투를 막기 위해 2중으로 설치해 놓은 철책선이 부분적으로 잘려나간
사실을 발견했다.
윤형 철책선을 사이에 두고 약 4m 떨어진 남쪽과 북쪽에 각각 설치돼 있는 철
책선 2곳에서 구멍이 나있었다는 것이다.
40×40㎝ 크기의 북쪽 철책선은 가로 위측과 우측변이 잘려나갔으며 40X30㎝ 크
기의 남쪽 철책은 가로 윗변, 세로 양측변이 각각 잘려나가 'ㄷ'자를 밑으로 엎어놓
은 형태로 구멍이 난 것으로 알려졌다.
군은 특히 철책선 절단 부분이 남쪽 지역으로 밀려나 있어 무장간첩이 침투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철책선을 관할하는 군단과 연천군 일대에 오전 3시45분께
대간첩침투 경계태세인 '진돗개 하나'를, 철원군 일대에 '진돗개 둘'을 각각 발령했
다.
군은 철책선 인근 지역에 대한 비상경계태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주요 지역에 대
한 정밀수색 작전을 벌이고 있으나 이날 오전 8시 현재까지 발자국을 비롯한 간첩
침투흔적은 발견하지 못했다.
그러나 군은 철책선 2곳이 비슷한 크기로 절단된 점, 절단된 부분이 남쪽으로
밀려진 상태인 점 등에 비춰 간첩침투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군은 북한군이 경계능력이 취약한 새벽 시간을 이용해 군사분계선(MD
L) 남쪽 지역까지 내려와 서울 잠입을 시도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경기 북부
및 강원도 일대에 대한 수색 및 검문검색을 강화하고 있다.
또 이 일대 기존 검문소 외에 임시검문소 4개를 추가로 설치해 경찰과 합동으로
거동수상자에 대한 검문검색을 강화하고 있다.
군은 특히 만일의 사태에 대비 검문소에 장갑차까지 동원하는 한편, 주변 일대
의 예비군 동원 준비태세를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임시검문소가 설치된 지역은 연천군 신서면과 군남면 일대 4곳으로 이날 오전 4
시 10분께부터 임시검문소가 운영됐다.
한편 군과 경찰, 국정원 등으로 구성된 합동심문조가 꾸려져 북한 무장간첩 등
의 침투 여부와 철책선 절단 의도 등에 대한 분석을 진행중이다.
군 관계자는 "북한 무장간첩 등이 실제로 침투했을 가능성과 북한군이 대남 침
투훈련 차원에서 절단만하고 다시 돌아갔을 가능성 등을 놓고 다각적인 분석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