뚜렷한 자각증상 없어 정기검진 필수
녹내장은 안압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져 차츰 시야가 좁아지고 시력이 떨어지는 질환이다.
심하면 결국 실명에 이르게 된다.
특히 이 병은 증상이 심해지기 전에는 뚜렷한 자각증상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더욱 위험하다.
과거에는 녹내장을 안압이 높아서 시신경이 손상을 받아 시야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으로 정의했으나, 요즘은 특징적인 시신경 손상으로 인해 시야 장애를 갖는 질환군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는 안압의 고저와 관계없이 시신경 손상이 올 수도 있다는 뜻이다.
최근 들어 안압이 정상인데도 시신경 손상이 지속되는 정상 안압 녹내장이 자주 발견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서구인은 안압 검사로 확인할 수 있는 고 안압성 녹내장이 90% 이상을 차지하는 반면 한국인을 비롯한 동양인은 정상 안압 녹내장이 전체 환자의 절반에 이를 정도로 많다.
따라서 기본적인 안압 검사만으로는 녹내장 발병 여부를 정확히 알 수 없어서 안압 검사 외에 시신경 유두검사나 자동시야검사를 통해 녹내장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녹내장은 쉽게 설명하면 방수(눈 속의 영양을 담당하는 액체)가 배출되는 길이 좁은 경우, 또는 방수의 과잉생산으로 밀폐된 공간인 눈 속에 방수가 많이 고이게 되어 압력이 올라가게 되어 발병한다.
이 병은 제대로 치료하지 않을 경우 젊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실명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조기에 진단을 받고 발견할 수만 있다면 평생 별 문제없이 잘 조절될 수 있는 질환이기도 하다.
대부분은 약물치료로 안압을 조절해 녹내장의 진행을 지연시키거나 정지시킨다.
약물치료를 하는 동안 치료가 효과적인지를 알기 위해서(녹내장의 진행여부를 알기 위해서) 안압을 측정하고, 시야검사를 하며, 시신경 유두부를 관찰해야 한다.
특히 시신경 유두부의 관찰은 과거에는 의사의 주관적인 관찰에만 의존했으나 최근에는 컴퓨터촬영분석장비(Heidelberg Retinal Tomogram)가 도입돼 과거보다는 훨씬 더 정확하고 객관적인 검사가 가능하다.
■ 진단과 예방
녹내장은 자각증상이 별로 없기 때문에 환자 자신이 알 수 있는 방법은 거의 없다.
따라서 평소 일년에 한두 번씩 정기적으로 안압을 측정하고 시신경 유두부검사 및 시야 검사를 받는 것이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이다.
녹내장에 걸리기 쉬운 사람이 있다.
40세 이상인 사람, 고도 근시, 당뇨병, 고혈압, 가족 중 녹내장이 있는 경우, 스테로이드 치료를 장기간 받는 사람 등이다.
이런 사람들은 녹내장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하고, 특히 정기 검진이 필요하다.
최근에 도입된 컴퓨터촬영분석장비는 시신경유두부의 정밀분석을 통해 녹내장으로 인한 시신경 손상이 진행되는지를 수치로 확인 가능, 안압 측정과 시야검사만으로는 불가능한 부분을 검색할 수 있는 최첨단장비이다.
시신경 유두부와 망막을 입체적으로 촬영하여 분석하는 이 장비는 1.6초의 짧은 시간에 시신경 유두의 사진을 32층으로 찍어 컴퓨터를 통해 3차원적인 상을 얻어서 분석한다.
■치료
약물치료가 원칙이다.
요즘에는 녹내장 치료 안약이 많이 개발돼 치료에 큰 어려움이 없다.
다만 고혈압의 경우처럼 평생 안약을 넣어야 하는 불편함은 있지만 안약만 잘 넣는다면 대부분 조절이 가능하다.
약물치료로 조절이 되지 않으면 레이저 치료를 시행하기도 하고 그래도 조절이 안되면 수술을 하게 된다.
녹내장은 치료도 중요하지만 예방이 더욱 중요하다.
눈이 이상하다고 해서 아무 안약을 넣거나 그런 안약을 장기간 사용하면 약물성 녹내장에 걸릴 수 있다.
특히 충혈을 억제하는 약제는 대개 안압을 상승시키는 악영향이 있음을 알고 주의해야 한다.
또 어두운 조명(영화관, 레스토랑), 감정적인 스트레스, 항히스타민제 등의 약제가 폐쇄각 녹내장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녹내장의 가족력이 있거나 한쪽 눈에 폐쇄각 녹내장이 있는 환자는 이런 환경을 피해야 한다.
김교영기자 kimky@imaeil.com
도움말:김기산 안과원장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