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들 갈 곳이 없다...예산도 부족

입력 2004-10-02 11:40:51

18만1천명, 시 인구의 7.1%

노인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대구전체 인구 가운데 노인 차지하는 비율이 7%를 넘어섰지만 복지시설이 턱없이 부족한데다 구.군별로 복지시설 수준이 큰 차이를 보여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대구시에 따르면 지난 6월말 현재 대구지역 만 65세이상 노인인구수는 18만1천명으로 전체 인구의 7.1%를 차지하고 있으나 대구시 및 각 구.군에서 운영하는 노인복지회관은 6곳에 불과한 실정. 따라서 복지회관 1곳 당 노인3만명이 이용하는 셈인데 특히 6곳 가운데 절반인 3군데가 북구에 위치하고 동구와 남구 각 1곳, 시 직영으로 수성구 1곳 등 구.군별 복지시설의 수 차이가 많아 지역간 형평성 문제까지 불거지고 있다.

그러나 3군데의 노인 복지회관을 운영하는 북구 경우도 회관 정원이 1천명에 불과, 이용 희망자를 모두 수용하지 못하는데다 갈수록 희망자는 크게 늘어나는 등 심각한 시설부족에 시달리고 있는 형편이다.

북구 강북 노인복지회관 관계자는 "1천원에 점심을 해결할 수 있고 여가시설인 탁구, 노래방과 에어로빅, 수지침 등도 무료 수강할 수 있지만 다른 구에서 찾아오는 노인들도 많아 더 이상 받아 들이기 힘들고 예산도 부족하다"고 하소연했다.

대구시가 운영하는 수성구 노인복지회관도 1일 평균 1천여명이 찾지만 프로그램이 어느 정도 경제력을 갖춘 중상위층 이상 노인들 위주로 구성돼 정작 소외계층의 노인의 이용은 거의 없는 등 운영상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전용만 복지회관 관장은 "여가욕구 충족도 중요하지만 어려운 계층의 노인들도 이용할 수 있고, 이들에게 일자리도 마련해 줄 수 있는 노인복지 정책의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 복지정책과 관계자는 "달서구의 경우 현재 예산을 확보한 상태로 조만간 시공에 들어갈 예정이며 구.군별로 한 개씩 노인복지회관을 건립하는 것이 정부방침인 만큼 서구 등에 노인복지회관 건립할 수 있도록 예산을 요구해 놓은 상태"라고 말했다.

한편 대구의 경우 2019년의 노인인구는 전체 시인구의 14%를 넘어 '고령사회'에 진입하고 오는 2026년에는 20%대에 들어서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호준기자 hoper@imaeil.com

사진:갈수록 노인인구는 늘어나지만 이들을 수용할 만한 노인복지 시설은 턱 없이 부족해 노인들이 마땅히갈 곳을 찾지 못해 공원에서 시간을 보내고 있다. 박노익기자 noik@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