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지 말고 기억하자" 지하철 참사 백서 '붐'

입력 2004-09-13 16:05:22

지난해 2월 일어난 대구지하철 참사를 다룬 백서들이 잇따라 발간되고 있다.

대구시는 3천만원을 들여 이달 중 750여쪽에 이르는 '대구지하철 화재참사 백서'를 1천권 정도 발간, 정부기관이나 학교 및 도서관 등 전국의 관련기관에 나눠줄 계획이다.

이번 백서는 지하철 참사 발생 뒤 지금까지의 기록들이 세 분야로 나눠져 있다.

특히 백서 앞 부분에는 매일신문에서 특종보도, 전 세계로 타전했던 지하철 화재 당시 연기로 가득 찬 지하철 객차 내부의 참담한 모습을 담은 사진을 비롯, 참사사진 수십 장을 25쪽짜리 화보로 꾸민 '사진으로 본 지하철 화재참사'를 실어 당시의 비참함을 되새기게 했다.

제1편에서는 지하철 현황과 사고개요 및 원인 등을, 제2편에서는 사고뒤 펼쳐진 조치와 긴급구조 및 응급조치, 수습대책, 복구대책, 자원봉사활동, 실종자 확인, 추모행사 및 추모사업, 보상업무 등을 다뤘다.

3편에서는 사상자명단과 자원봉사활동 체험수기 및 언론보도 내용 등을 담았다.

시는 백서를 통해 지하철 화재가 대형사고로 확대된 원인을 △불연재가 아닌 난연재로 된 객차설비 △화재차량 맞은편에서의 전동차 진입에 따른 송풍효과로 화재의 급속한 전파 △기관사와 운전 사령실의 상황판단 부족 △승객대피 동선과 동일한 연기 유동경로 △지하철설비의 화재취약성 등을 꼽았다.

백서는 아울러 '사고원인과 반성'의 항목에서 '대형사고로 확대된 주요원인은 지하철공사의 초기대응 및 조치의 미숙이었다'고 지적했다.

백서는 "사고열차인 1079호 기관사의 화재발생에 대한 사고보고 누락과 화재발생을 최초 보고한 역무원의 상세하지 못한 보고 내용은 사령실 관계자로 하여금 오판을 낳게 한 중대한 과실"이며 "사고관련 담당자 대부분이 제도를 무시하거나 안이하게 대처함으로써 대형사고로 확대됐다"고 분석했다.

한편 대구시의 백서와 함께 지하철 관련단체 두 곳에서도 별도의 백서발간을 계획 중인 것으로 알려졌고 지난해는 대구지검과 국립과학수사연구소에서도 각각 '수사백서'와 '대량재해와 집단사망자 관련'이란 백서를 냈다.

정인열기자 oxen@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