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 발굴·유치에 최선" 정규석 대경과기연 초대원장

입력 2004-09-10 11:47:33

대기업 적극 참여가 성공 요체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의 성공 가능성에 대해 정부와 과학자들 사이에 일부 우려와 회의적인 반응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대경과기연은 지방정부와 언론, 정치권이 결집해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새로운 비전을 제시한 첫 사례입니다.

정도(正道)에 따라 합리적으로 업무를 처리해 나간다면, 앞으로 닥칠 여러가지 어려움도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정규석(丁奎錫.56) 대경과기연 초대원장은 9일 대구그랜드호텔에서 기자와 만나,"대경과기연의 가장 큰 출연기관은 중앙정부이지만, 그 주된 설립 목적은 지역의 산업과 경제 발전"이라며 "따라서 대경과기연은 성공적인 산.학.연 협력 사례를 창출해 낼 수 있을 때에만 존립근거를 찾을 수 있고,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중앙정부와 지역사회의 지원도 얻어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 원장은 또 "최근들어 산.학.연 협력모델이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성공사례는 드문 것이 현실"이라면서 "대경과기연은 출발할 때부터 삼성전자, LG전자 등 대기업들이 함께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성공 가능성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정 원장은 "대구시와 경북도, 정치권, 지역사회, 기업들이 대경과기연 설립 작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

기업의 참여가 전제될 때, 비로소 대경과기연이 성공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일자리 창출'과 '경제발전'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정 원장은 특히 "우수한 인재의 확보가 가장 큰 고민거리 중 하나"라며 "대구경북 지역 인재들의 잠재력을 활용할 수 있는 가교 역할을 대경과기연이 수행하면서, 국내 다른 지역은 물론 세계적으로 우수한 인재들을 발굴, 유치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연구영역 또한 정 원장의 고민거리다.

"응용연구에만 집중하면, 단기간에 가시적인 성과를 얻기는 쉽습니다.

그러나 원천기술에 대한 연구를 배제한 채 연구원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도, 세계적 연구원이 될 수도 없습니다.

" 정 원장은 대경과기연 설립과 운영 과정에 놓인 많은 난제들을 전문가들의 의견을 존중하면서, 합리적으로 하나하나 풀어가겠다는 의지를 다졌다.

석민기자 sukmin@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