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등급제...내신 위주 선발

입력 2004-08-27 12:02:38

2008학년 이후...학생부 상대평가로

현재 중학교 3학년생 이하 학생들은 앞으로 수능시험보다 고교 내신성적에 더 신경을 써야 대학 진학에 유리해진다. 또한 논술, 심층면접 등 대학별 고사가 본고사 형태를 띠고 반영 비중도 커질 전망이어서 조기에 진로를 결정하고 전공 관련 공부에 힘을 쏟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교육인적자원부는 26일 수능 점수제 폐지, 내신 9등급제 및 원점수 표기, 특목고 동일계 특별전형 확대 등을 골자로 하는 '2008학년도 이후 대입제도 개선안 시안'을 발표했다. 이 시안은 공청회 등 의견수렴을 거친 뒤 9월중 확정될 예정이다.

시안에 따르면 학교생활기록부는 내신 부풀리기 방지를 위해 절대평가인 평어(수우미양가)를 없애고 9단계의 석차 등급과 과목별 원점수(평균과 표준편차 기입)로 구분하는 상대평가로 바뀐다. 또 봉사.특별.독서활동 등을 기록하는 비교과영역에 교과별 독서활동을 기록하게 해 교과와 비교과 영역이 균형적으로 반영되도록 할 계획이다.

수능 성적은 9개 등급으로만 구분하며 학교 수업 내용에서 출제하되 단계적으로 문제은행식 평가로 전환한다. 전체 영역의 문제은행이 구축되는 2010학년도부터는 수능시험을 연 2회 실시하거나 1회를 이틀에 걸쳐 치르는 방안도 검토된다.

그러나 대학들은 수능의 변별력이 거의 사라지고 고교간 격차, 낮은 신뢰도 등으로 내신성적도 합리적이지 않다며 논술, 면접 등 자체 시험에 비중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는 새 대입제도가 정착되면 학교 교육이 한층 활기를 띨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나 내신성적 대비반, 논술·면접 심화반 등 새로운 형태의 사교육 열풍을 조장할 것이란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또 학생부의 공신력을 높이고 학교간 격차를 줄이는 한편 치맛바람을 방지해 내신성적의 실질반영비율을 높이는 방안 모색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된다.

김재경기자 kjk@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