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박근혜(朴槿惠) 대표가 이사장으로 있는 정수장학회는 지난 1962년 7월 박정희 전 대통령이 설립한 재단법인 '5.16 장학회'가 모태다.
1963년 기업인 김지태씨가 소유했던 부산일보와 문화방송 주식을 국고에 양도, 이를 5.16 장학회가 편입한 것이 발단이 됐다.
당시 5.16 장학회의 설립 취지는 경제적 어려움으로 학업을 잇지 못하는 유능한 인재들에게 장학금을 주겠다는 것이었다.
그러다 1981년 1월14일 '정수장학회'로 이름을 바꾸었고 언론사 통폐합 과정을 거치며 문화방송 주식 70%를 국가에 헌납하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
'정수(正修)장학회'는 박 전 대통령과 육영수 여사의 이름을 딴 것이다.
현재 정수장학회는 부산일보 지분 100%와 서울 문화방송의 지분 30%, 그리고 경향신문 정동사옥의 700여평의 부지를 갖고 있으며 정수장학회의 자산가치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수천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또 지금까지 장학금 수혜 사업도 활발해 연간 800여명의 학생들에게 25억원 상당의 등록금 전액을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수장학회가 언론사 지분을 활용, 편집권에 관여한 사실이 구체적으로 드러난 적은 없으나 부산일보 노조 측에서'보이지 않는 손'을 주장한 사례도 있다.
전국언론노조 부산일보지부는 지난달 16일 노보를 통해 "정수장학회 이사장이 왕성한 정치활동을 하면 할수록 부산일보의 보도는 '편향의 색깔'이 덧씌워지고 있다"고 주장했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은 "정수장학회는 현재 교육부에 등록된 공익재단으로 박 대표의 개인 재산이 아니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재산신탁이나 국고환수를 논할 대상이 아니며 법적으로도 개인의 재산권 행사가 불가한 상태라는 것.
박 대표 측은 "만일 법인이 해체되는 경우가 발생하면 그때는 당연히 국고로 환수하게 돼 있다"며 "관련 언론사는 전문경영인에 의해 운영되고 있고 정수장학회는 관련 언론사의 편집권·운영권·인사권에 개입한 적이 없고, 관련사 노조에서도 이 문제를 제기한 적이 없었다"고 말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