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경기 불투명"

입력 2004-07-14 13:21:01

저금리 유인책 내놔도 대출 외면

경기침체가 계속되면서 내수를 위주로 하는 지역 기업들이 금융기관과 지방정부의 각종 우대금리 적용에도 불구하고 기업대출을 외면하며 설비투자를 꺼리는 현상이 갈수록 심화돼 향후 경기가 회복되더라도 지역경제가 활력을 되찾는 데 결정적 걸림돌이 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기업은행은 대구경북 지역 중소기업에 대해 올해 2조원을 공급하고 그 중 설비투자 촉진을 위해 시설자금으로 5천억원을 지원키로 하는 등 지난해보다 자금 지원 규모를 늘리고 대출 조건도 완화시켰다.

그러나 14일 현재까지 시설자금을 빌려간 총액은 불과 2천억원(40%) 정도에 그쳤다.

신용보증기금 대구경북본부의 경우 시설자금에 대한 보증이 지난해보다 대폭 줄어들었다.

신용보증기금의 대구경북지역 시설자금 보증현황은 2003년 상반기에는 총 1천245억원이었으나 올 상반기에는 1천152억원(92.5%)으로 감소했다.

대구시도 지역 기업들의 시설투자를 견인하기 위해 종전 5.7%였던 중소기업의 시설투자자금 금리를 이달부터 1% 인하, 연 4.7%로 지원키로 했고, 에너지 절약시설 등 일반 시설자금도 연4.7%로 우대 지원하고 있다.

대구시는 시설투자자금 700억원(업체당 한도액은 시설자금 10억원, 운전자금 3억원)을 배정해 두었으나 지역기업들이 막상 대출받은 규모는 14일 현재까지 대출가능액의 39.5%에 그쳤다.

계명대 경영학과 박명호교수는 "내수가 죽어있는 상태에서 대기업의 주문만 기다리는 지역중소기업으로서는 어쩔 수 없는 상황이 아니겠느냐"며 "자동차부품, 섬유, 안경 등이 위주인 대구지역 중소기업으로는 현상황을 탈피할 의욕을 되찾지 않는 한 산업공동화 현상은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성현모 기업은행 대구경북지역본부 부부장은 "경기회복 시기가 불투명하고 내수가 회복되지 않아 기업들이 대출을 받아 시설투자에 나서려고 하지 않고 있다"고 분석했다.

경제부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