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金正日) 북한 국방위원장의 후계자로는 그의 세 아들이 각축하고 있으며 노동당 창건 60주년인 내년에 후계자가 발표될것이라는 관측이 유력하다고 니혼게이자이(日經) 신문이 8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김정일 체제' 10년을 맞아 후계 추대의 정지작업이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면서 지난해 가을부터 북한 내부에 '전 사회의 선군사상화'라는 슬로건이 빈번히 등장하거나 지난 1995년 중지됐던 '3대 혁명소조'의 활동이 본격화된 것 등을들었다.
김 위원장이 지난 1974년 후계자로 낙점됐을 때도 '전사회의 주체사상화'가 슬로건으로 등장했고 김 위원장의 보위그룹인 '3대 혁명소조'가 활동을 개시한 바 있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신문은 후계자로는 전처 성혜림이 낳은 장남 정남(33) 씨와 현부인 고영희가 낳은 2남 정철(23), 3남 정운(21) 씨가 가장 유력하다고 주장했다. 김 위원장의 어머니 김정숙은 '혁명의 어머니'로 찬양됐고, 요즘 고영희는 '평양의 어머니'로 우상화되고 있다.
또 군부대에 고영희의 초상화가 걸리거나 인민군 문서에서 그녀를 찬양하는 글이 발견되고 있다는 증언들도 최근 잇따르고 있다.
신문은 군과 당의 간부들이 3남 정운 씨를 '금성대장'이라는 애칭으로 부르고있다며 과거 김 위원장이 '광명성'이라고 불렸던 것과 유사한 점을 들어 '별'이 후계와 관련 있는 호칭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2남 정철 씨도 유력한 후보로 최근 군과 내각을 관리하는 노동당 주요 파트인당 조직지도부에 근무한다는 설이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신문은 가부장제가 강한 북한사회에서 장남인 정남 씨가 낙점될 가능성도 크다는 관측이지만 그가 일본 불법입국 사건으로 노여움을 산 뒤 한동안 평양을 떠나 지지기반이 약한 것이 흠이라는 견해도 있다고 지적했다.
제4의 후보로는 김 위원장의 누이동생인 김경희의 아들(33)도 거론되고 있으나그에 대한 정보는 그다지 알려지지 않고 있다.
신문은 노동당 창건과 해방 60년을 맞는 내년 후계자가 발표될 것이라는 관측이많다면서도 이 결정이 다소 미뤄지거나 '집단지도체제'가 도입될 가능성도 있다고덧붙였다.(도쿄=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