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주의는 스트레스와 불안 때문에 자신의 건강
을 해칠 뿐 아니라 남의 삶도 불행하게 할 수 있는 만큼 강박신경증처럼 의학적 치
료가 필요한 상태로 분류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고 BBC 인터넷 판이 20일 보도했다.
캐나다 토론토 요크대의 심리학자인 고든 플렛 교수는 완벽주의자를 ▲스스로에
게 완벽을 기대하는 '자기지향적 완벽주의자' ▲ 남의 완벽을 요구하는 '타인지향적
완벽주의자' ▲ 남들이 자신이 완벽하기를 원한다고 믿는 '사회적 완벽주의자'등 3
가지 타입으로 분류했다.
그는 "완벽주의는 완벽하거나 완벽하게 보일 필요가 있는 것이며, 완벽주의자는
끈질기고 꼼꼼하고 조직적으로 성취하는 사람"이라고 정의했다.
또 "완벽주의자들의 행동은 완벽하지 못한 부분을 숨기려하거나 완벽한 것 같은
이미지 구축을 시도하는 등 다양하지만 자신이나 남에게 극단적으로 높은 잣대를 들
이대는 공통점이 있다"고 전했다.
플렛 교수는 그러나 어떤 완벽주의는 감정적, 신체적, 인간관계적인 문제를 일
으켜 우울증, 식사장애, 부부 불화, 심지어 자살까지 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완벽주의가 공식 인정된 정신질환은 아니지만 고민이나 기능장애와
관련 있다는 점에서 극단적인 완벽주의는 자아도취증이나 강박신경증, 의존증 등의
질병과 유사한 것으로 분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난 1994년 4-5살짜리 어린이 30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도 완벽주의
성향이 높은 어린이들 사이에서 분노와 걱정 같은 극단적인 스트레스 증세가 더 많
이 나타났다고 전했다.
그가 소개한 완벽주의자들이 드러내는 스타일은 크게 3가지. 첫째는 '자기 과시
형' 으로 자신의 완벽함을 자랑하거나 과시해 남에게 감명을 주고자 하며 이들은 남
들을 짜증나게 하기 때문에 금방 가려낼 수 있다.
두 번째는 완벽하지 못함이 드러날 수 있는 상황을 피하는 스타일로 어린이에서
도 흔히 발견된다. 세 번째는 문제를 혼자 숨기는 경향으로 남들 앞에서 자신의 실
패를 인정하지 못하는 스타일이다.
영국의 심리학자 페넬로프 존슨 박사는 완벽주의는 비현실적인 인생관에서 비롯
되며 일반적인 스트레스의 일종으로 완벽주의자는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사람이기
때문에 완벽주의 그 자체보다는 스트레스를 치료하는 것이 낫다고 주장했다.
존슨 박사는 특히 완벽주의자 상관은 하급 직원에게 비현실적이고 사리에 안 맞
는 기대를 하기 때문에 함께 일하기 힘들다며 이런 상관을 다루려면 상관의 요구가
정말로 사리에 맞는지를 묻고 신경질 내거나 화내지 말고 협상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서울=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