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의 최대 역점사업인 '테크노폴리스' 조성사업이 또다시 벽에 부딪혔다.
대구 테크노폴리스 개발사업자로 나서기로 했던 한국토지공사가 당초 25일로 예정했던 양해각서 체결을 무기연기한다는 방침을 24일 밝혔기 때문이다.
한국토지공사는 이 날 관련부서 관계자들이 모두 참석한 가운데 대구 테크노폴리스 조성사업 참여여부를 검토한 끝에 25일 양해각서 체결이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다.
토공은 대구 테크노폴리스 조성안에 대한 심도 있는 협의.검토를 한 결과, 사업내용에 대한 전면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토공 관계자는 규모(연구집적단지 164만평, 주거단지 123만평)가 너무 큰 데다 사업비(1조4천800억원)도 많이 들어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점을 양해각서 체결 연기 이유로 들었지만 내부적으로는 '사업타당성'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많았다고 전했다.
토공은 이 날 회의 직후 당초 사업시행을 건의했던 대구.경북지사에 재협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지시했으며 향후 대구시와 수정된 협의안을 만들어 재협상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토공 실무 담당자는 "제로베이스에서 검토해본 결과, 과연 연구집적단지에 대한 수요가 있는지에 대한 전면적 재확인이 필요했다"며 "토공은 수익사업으로 테크노폴리스 사업을 추진하지 않지만 기본적으로 사업타당성은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대구시의 계획에 수정이 불가피한 것으로 보이며 대구시가 수정안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최악의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며 "양해각서를 언제 체결할지 현재로선 전혀 알 수 없다"고 밝혔다.
토공은 지난달 개발사업 참여 검토단계에서도 연구단지 규모가 너무 넓다는 지적을 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대구 테크노폴리스'는 연구단지 축소 등 사업내용 수정이 불가피해진 것은 대구시가 뜻을 굽히지 않을 경우, 토공이 개발사업 참여에서 발을 빼는 상황까지 나올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조해녕 대구시장은 지난 6일 김진호 한국토지공사 사장을 방문, 대구테크노폴리스 조성계획을 설명했으며 토공이 개발사업자로 참여한다는 원칙적 합의를 봤다고 밝힌 바 있다.
대구시도 이같은 합의에 따라 이달내 '지역종합개발협력사업' 양해각서를 체결한 뒤 시와 토공간 실무협의체를 구성하고 11월 토공과의 시행협약 체결을 거쳐 연말쯤엔 건설교통부에 테크노폴리스 지구지정 및 개발계획 승인을 신청할 방침이었다.
강성철 대구시 과학기술진흥실장은 "현재 토공의 입장을 파악중에 있지만 토공이 사업타당성 검토를 한 뒤 대구시와 협약을 체결할 걸로 본다"며 "사업타당성 검토에 다소 시간이 걸릴 뿐 협약까지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최경철기자 koala@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