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학 혁신역량 강화 '누리사업'

입력 2004-02-27 14:02:35

참여정부의 주요 정책 중 하나인 지역혁신체제(RIS)의 핵심인 지방대학 혁신역량 강화사업인 '누리(NURI)' 프로젝트를 두고 지역대학 서로간, 각 대학의 전공분야간 갈등양상이 빚어지고 있다.

향후 5년간 모두 1조4천200억원이 투입될 누리 프로젝트를 두고 대구시와 경북도는 지난 2일 김범일 정무부시장과 남효채 행정부지사 등 관련 공무원들이 만나 경제권을 같이 하는 대구경북이 공동의 프로젝트를 통해 상생과 공동번영의 길을 모색하자는데 합의하고, 지방대학 혁신역량 강화사업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교육인적자원부도 대구경북과 부산.울산.경남, 대전.충남, 광주.전남을 자율적 권역통합 지역으로 선정하고 '통합지역단위협의체'를 구성해 누리사업을 추진할 경우 기본 배분액의 5%를 인센티브로 주는 등 경제권역별 사업 진행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이같은 방침은 지역산업의 육성에 필요한 인재를 경쟁력 있는 지역대학에서 키워 공급하게 함으로써 지방대학과 지방을 살리겠다는 누리사업의 취지 때문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그러나 경북대를 비롯한 몇몇 지역대학들은 누리사업의 공동추진에 적극 찬성하고 있는 반면, 대구와 경북이 통합해 사업을 추진할 경우 중심대학으로 선정될 가능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한 일부 대학들은 분리추진을 주장하고 있어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시.도가 분리되면, 각 지역별 예산배분에 따라 경쟁력이 다소 없더라도 예산지원을 받을 기회가 있을 것이라는 게 이들 대학의 계산이다.

하지만 지역대학 내부의 사정은 더욱 복잡해진다.

누리사업 대상 대학은 앞으로 5년 안에 특화분야의 교수확보율을 80%로 늘려야 하는데, 현재 50~60% 미만의 교수확보율을 가진 지역사립대학의 경우 이 조건을 만족시키려면 모든 학교예산을 집중 투입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누리사업 대상이 될 가능성이 적은 전공분야의 교수들을 중심으로 누리사업 무용론이 나오고 있다.

등록금의 교수 등 인건비 부담률이 60~70%에 이르는 지방사립대학의 여건을 감안할 때 누리사업 참여가 대학에 부담만 줄 뿐 기여하는 바는 크지 않다는 주장이다.

전문가들은 "경쟁력 있는 지방대학의 특화분야 인재육성을 통한 지역산업의 발전이라는 누리사업의 목적을 망각하고 자기 대학과 전공분야의 이해관계에만 몰두하는 것이 혼선과 갈등의 원인"이라고 말했다.

대구경북분권혁신협의회 운영위원회는 26일 "RIS가 대구경북 초광역행정권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데 광범위한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는 만큼 RIS의 일환인 누리사업 역시 협력과 상생의 정신으로 대구경북이 함께 추진해야 한다"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석민기자 sukmin@imaeil.com

김수용기자 ksy@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