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노트-대구시 예나 지금이나

입력 2004-02-26 13:54:01

대구시는 조만간 여의도에 서울사무소를 개설해 대(對) 정부 및 국회의 창구로 활용할 계획이다.

그러나 이를 바라보는 정가의 표정은 별로 탐탁지 않아 하는 기색이다.

"대구시 공무원들이 발상의 전환을 하지 않는 한 여태까지의 행태를 봐선 사무소를 개소해도 별로 나아질 것이 없을 것"이라며 시큰둥해 하고 있다.

지역 정치인들은 대구시를 "우물안 개구리로 정치적 감각이 무디고 염치조차 없다"며 곱지 않게 보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대구시 공무원들이 아직 전화 한 통화만 하면 일이 되던 3공, 5공 시절인 줄로만 아는 것 같다고 꼬집는다.

한마디로 세상이 바뀌었는데도 대구시 공무원들만 모르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말 내년도 우리나라 예산을 '주무를 수' 있는 국회 예결위 계수조정소위 위원장으로 활약한 ㅂ의원에 따르면 대구시는 예산과 관련해 의논조차 해오지 않았다고 한다.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DKIST) 설립 예산도 대구시는 고작 10억원을 신청했을 뿐이다.

이 사업에 자신의 정치적 역량을 쏟아부은 ㅂ 의원의 호통에 신청액을 올리기는 했으나 20억원을 추가하는데 그쳤다.

최종 확정된 200억원 같은 거금은 대구시의 발상으로는 엄두조차 내지 못한 규모다.

지하철부채 40% 탕감과 지하철건설비용 국비 분담률을 50%에서 60%로 상향 조정한 '거사'를 치르는데도 대구시는 완전 국외자(局外者)였다.

부채 40% 탕감이란 최종 성과물을 끌어낸 것도 또다른 ㅂ의원의 끈질긴 노력으로 가능했다.

부채탕감 약속액만 7천300억원이다.

인천시는 지하철부채 40% 탕감으로 2천억원 정도 혜택을 보게 되자 ㅂ 의원에게 안상수 시장 명의로 감사패까지 전달했다.

그러나 대구시는 조해녕 시장이 국회의원들에게 밥 한끼 사며 인사치레를 한 것이 전부다.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항상 이런 식이다.

참여정부 출범 이후 예산 따기와 민원 해결의 또다른 창구가 된 열린우리당의 시각도 한나라당과 크게 다르지 않다.

열린우리당 대구시지부에 따르면 도동IC 건설비 538억원 확보와 삼성이 삼성상용차 협력업체들에게 진성어음 185억원을 변제토록 하는데는 노무현 대통령의 측근인 ㅇ씨의 역할이 컸다고 한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대구시도 인정하고 있다는 것. 그럼에도 대구시는 ㅇ씨를 빼놓은 채 자신들의 공이라고 내세우고는 "선거 때문에 공동 기자회견 등을 통해 누구의 공(功)이라고 밝힐 수 없으니 직접 언론플레이를 하라고 하더라"며 "어떻게 이럴 수 있느냐"고 혀를 찼다.

정치2부.최재왕기자 jwchoi@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