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전략산업 육성에 4천203억원 투입

입력 2004-02-16 11:35:25

2004년부터 향후 5년간 추진될 2차 대구지역 전략산업 육성 사업비가 모두 4천203억원(국비 2천930억원, 지방비 595억원, 민자 678억원)으로 최종 확정됐다.

특히 이번 대구지역 전략산업 육성계획은 기업과 R&D(연구개발) 및 기업지원 기능을 연계해 산업클러스터를 활성화 시킨다는 기본방향에 따라 성서공단내 대구기계부품연구원에 메카트로닉스센터를 추가 건립하고, 신기술산업원(나노, 생물) 역시 성서공단에 입주시키기로 했다.

그러나 모바일산업지원센터의 경우 대구-구미간 초광역 산업클러스터를 육성하는 것이 기업들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많아 '대구칠곡'과 '성서공단' 2곳 후보지를 두고, 입지에 고심하고 있다.

포스트 밀라노프로젝트도 1단계와 달리 구축된 장비를 활용한 R&D와 기업지원 등 지역기업들에 직접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SW(소프트웨어)적인 사업에 중점을 두었다.

구체적인 사업별 예산은 신소재 섬유개발 3개사업 316억원(국비 218억원), 염색산업 첨단화 4개사업 460억원(국비 320억원), 섬유기계산업 육성 3개 사업 162억원(국비 120억원), 섬유기술개발 1개 사업 300억원(국비 200억원), 섬유산업 구조고도화 및 수출강화 5개사업 233억원(국비 122억원) 등이다.

전통산업의 첨단화와 뉴비즈니스의 창출을 목적으로 한 산업분야에는 △메카트로닉스 823억원(융자 포함 국비 602억원, 지방비 101억원, 민자 120억원), △나노·모바일·전통생물 등 신기술산업 1천434억원(국비 890억원, 지방비 272억원, 민자 272억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또 지역전략산업의 체계적 육성을 위해 대구테크노파크에 설립될 전략산업기획단에는 60억원(국비 43억원, 지방비 17억원)의 예산이 배정됐다.

안국중 대구시 경제기획담당 사무관은 "2차 지역전략산업의 전체 예산 규모는 확정 됐지만, 연차별 사업별 구체적 예산은 아직 최종 확정되지 않았다"며 "지역기업들에게 직접적 도움이 될 수 있는 산업클러스터를 구축한다는 것이 주요 정책 목표"라고 말했다.

민병곤기자 minbg@imaeil.com

석민기자 sukmin@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