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정보업체 헬로잡(www.hellojob.com)이 지난달 건국대, 성균관대, 연세대, 한양대생 4학년 502명을 대상으로 '나의 전공교수가 나의 취업에 어느정도 관심이 있는가'에 대해 서면 설문조사를 한 결과, 대다수 학생들이 '무심하다'고 답했다.
'관심이 없다'고 답한 경우는 26.2%(132명), '관심이 있는지 없는지 모르겠다'고 답한 경우는 41.5%(208명)로 70%에 육박하는 응답자들이 부정적 대답을 했다.
반면 32.3%(161명)는 전공교수가 나의 취업에 관심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관심이 아주 많다'는 2.7%에 머물렀고 '나의 취업에 조금 관심이 있다'는 응답은 29.6%였다.
'취업을 위해 전공교수와 상담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70.3%(353명)가 '없다'고 응답, 대학생들은 취업준비를 위해 전공교수와 상담을 거의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교수와 상담을 하지 않은 353명을 대상으로 그 이유에 대해 질문한 결과 평소 교류가 없어서(64.5%), 나의 취업에 대한 대안이 없어서(13.6%), 의논해도 취업이 되지 않으므로(10.5%) 순으로 답했다.
'전공교수와 상담을 한적이 있다'라고 밝힌 28.5%(143명)를 대상으로 '몇 회에 걸쳐 상담을 했는가'를 물어본 결과 1회(46.8%), 2회(20%), 3회(16%), 4회(10.2%), 5회(7%) 순이었다.
'전공교수와의 취업상담을 해서 어떤 도움을 받았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대학원진학을 권유받았다(31.6%), 유학정보를 얻었다(30.3%), 지원 직무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21.2%) 등의 응답이 많아 전공교수와의 상담을 통해 취업에 관한 직접적인 정보나 구체적인 취업전략에 대한 조언은 얻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설문에 응한 94%의 대학생들은 '취업을 위해 전담교수가 필요하다'고 답해 4학년 대학생들은 취업을 위해 교수의 도움을 받고 싶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전담교수에게 바라고 싶은 점'은 '기업에서 원하는 인재교육을 강화할 것 (28.7%)' '학생들에게 보다 많은 시간을 내어줄 것(26.2%)' '전공교육을 기업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것(20.3%)' 순으로 나타났다.
헬로잡은 "대학교 4학년 학생들은 취업준비과정에서 상대적으로 교수들의 도움이 적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집계됐다"며 "이를 타개하기 위해 학생들은 전담교수제도가 필요하다고 생각했으며 취업전담교수를 통해 취업에 필요한 실질적인 교육을 받고 싶어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