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데스크-지방을 살린다고?

입력 2003-11-28 11:35:59

팔달교, 서대구IC, 남대구IC, 화원톨게이트 등 대구 외곽지는 이른 아침부터 대구를 빠져나가는 차량들로 정체가 시작된다.

오후엔 거꾸로 대구시내로 들어오는 차량들로 넘쳐난다.

오늘같은 금요일 오후면 대구 시내로 들어오는 진입로들이 평일에 비해 더욱 붐빈다.

그러다가 월요일 새벽이면 다시 썰물처럼 대구를 빠져나가는 차량들의 행렬이 일반 출근자들에 보태져 교통량은 평일보다 더욱 많아진다.

구미에도 다 있다.

가요방에다 폭탄주, 백화점, 문화예술회관, 최신영화 상영 멀티플렉스관, 불법주차, 택시 불친절 등등. 마치 서울에 있는 모든 것들이 비록 규모와 수준에서 차이가 있긴 하지만 대구에 모두 있듯.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구미를 두고 대구에서 출퇴근한다.

불편을 감수하면서도 구태여 대구에 둥지를 트는 이유로 '자녀 교육'이나 '문화생활을 위한 환경' 등 여러 가지 이유를 든다.

물론 환경의 규모와 수준이란 것이 그리 간단한 것만은 아니지만 그것만이 전부는 아닐 것이란 생각이다.

구미로 일터를 옮긴 지 두달만에 얻은 결론이다.

지방생활의 상대적 불이익

세상에는 논리로만 설명할 수 없는 것들이 많이 있다.

지방과 중앙과의 비교에서도 그런 것들이 존재하는 것 같다.

'거시기'한 것이라고나 할까. 대도시와 비교한 지방의 상대적 불이익도 그 중 하나가 아닐까. 대구에서 집 팔아 서울 간 이웃이 1년 만에 아파트값이 1억원이 올랐느니, 2억원이 올랐느니 하는데 따른 지방생활의 심리적 왜소감과 상대적 불이익을 지방민의 속좁음이라고 탓할 수만은 없다.

서울에서도 강남으로만 사람들이 몰린다는데, 대구시민의 수도권 사람들에 대한 투기심이나 대구시민에 대한 지역민의 배아픔을 꼭히 속물근성이라 폄훼할 수 만도 없으니 하는 말이다.

따라서 그만큼은 못되더라도 지방에 사는 사람들에게도 무엇인가 혜택이 있어야 한다.

그것이 진정 지방을 살리는 길이다.

지방민들의 수도권에 대한 질투는 더러는 피해의식으로, 혹은 패배감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순진한 지역민들을 더 이상 허탈하게 만드는 정책은 없어야 한다.

참여정부는 역대 어느 정권보다 지방을 살리겠다고 큰소리쳤고 수도권 집중을 해소하고 지방분권을 실천하겠다고 기세를 올렸다.

그러나, 정말 특정 지역이 손해보지 않는 지역균형발전이 가능한가. 원칙적으로야 지방분권에 공감한다지만 신행정수도 건설 특별법을 심의하기 위해 설치키로 한 특위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부결된 것은 무엇을 말하는가. 지방을 살린다는 법 제정을 기다려도 되나.

고속철 김천역에 앞서 해야 할 일

경부고속철도 김천역이 확정되자 김천은 물론 인근 지역민들은 환호한다.

여기에다 연말이면 경부고속도로 구미~동대구간 8차로 확장공사가 완공된다.

상대적으로 열세일 수 밖에 없는 구미 등 지방은 그냥 대구권으로 편입당할 운명이 뻔하다.

길이 새로 뚫리면서 그 수혜자는 늘 대도시민 쪽이었고 지방은 오히려 피해를 입어왔기 때문이다.

김천역이 들어서면 그냥 상권이 형성되고 도시가 활기를 띨 것이라 생각하면 착각이다.

구미공단을 비롯해 지역의 고소득자나 수도권에 생활근거를 둔 많은 지역민들이 김천역을 이용해 지역을 빠져나가기 더 수월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주5일 근무제도 빠르게 뿌리를 내리고 있다.

주말이면 지방을 빠져 나가는 행렬이 더욱 가속화되면 지방은 더욱 껍데기만 남는다.

지금부터 준비해야 한다.

그 사람들을 지방에 묶어놓고 오히려 수도권 인구를 지방으로 유인할 수 있게 자리를 펼쳐야 한다.

구미시와 김천시는 그런 준비를 해야 한다.

지금부터 10년 뒤, 20년 뒤를 겨냥한 청사진을 그려가며 도시를 정비 개발하고 필요하면 정부의 지원을 요청해야 한다.

누구를 위한 김천역인가는 자치단체의 역량이 결정할 것이다.

그런데 뜬금없이 김천구미역은 무엇인가. 지금 역 이름이 문제인가.

이경우(중부 본부장)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