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은 오랫동안 내 안에 있었다.
세상 모든 그림자가 어룽지던 물의 박수와
갈대 서걱인 갈채
그때 강은 스스로 몸을 바꾸어 갔다
이제 강은 수문을 열지 않는다
폭우 뒤의 햇빛이 흙탕물을 피해
염소 떼를 핥는 새 나는 달개비꽃에 떠밀려
붉은 물가에 내려오곤 한다.
송재학 '금호강' 부분
송 시인은 치과의사이다.
최근, 반야월쪽으로 병원을 옮겨 새로 간판을 걸었다.
치과 업무를 보면서 또 시를 쓰는, 두가지 일을 아주 잘 하고 있는 시인이다.
금호강이 우리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 어릴 때는 일 년에 한 두 번은 반드시 범람해서 허벅지까지 오는 물을 엉기적 엉기적 걷기도 했고 또 그 강둑에서 방과 후의 시간을 보내던 우리에게 금호강이 주는 의미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게 하는 시이다.
서정윤(시인.영신고 교사)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