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작황조사 결과 발표를 미룬 것은 생산량 늘리기를 위한 사전정지 작업으로 볼 수밖에 없습니다".
정부가 2일 발표한 '2003년도 쌀 작황조사'가 부풀려 졌다는 의혹이 농업 현장 곳곳에서 제기되고 있다.
농민들은 물론 농업전문가들조차 정부 발표의 근거를 도무지 모르겠다고 말할 정도다.
농민들과 함께 농업현장을 누비고 다닌 농업관계자들조차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그러나 이들은 함구로 일관하고 있다.
이는 무엇을 뜻하는가. 농업 관련 업무를 맡고 있는 공무원들도 정부가 발표한 수치가 부풀려졌다고 말은 못하지만 농민들의 주장에 공감하고 있다는 얘기다.
익명을 요구한 한 농업관련 공무원은 "정부 발표가 부풀리기라고 해도 할 말이 없다"면서 "답변할 위치에 있지 않다"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다.
또다른 관계자는 기자의 질문에 "부풀려졌다"고 잘라 말한 뒤 말을 아꼈다.
지난달 농림부 관계자도 기자와의 통화에서 "작황조사 결과를 공개할 수 없다"며 함구한 적이 있었다.
이 모든 정황을 종합하면 정부가 쌀 생산량 조사결과를 부풀렸다는 결론을 얻는다.
농촌지도자회 의성군 김한탁(49) 안계면회장은 "지난달 15일부터 일주일동안 정부가 쌀 생산량 표본조사에 나설 당시에는 쭉정이와 쌀을 구분하기 어려울 때였지만 지금은 쭉정이와 쌀을 확실히 구분할 수 있다"면서 "작황조사 결과가 엉터리"라고 주장했다.
97년 전국 쌀 증산왕에 오른 경북 의성 다인농협 정석조 조합장도 "추수가 시작된 다인지역은 지난해 보다 무려 30%이상이 감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농민들의 생산량 부풀리기 주장을 뒷받침했다.
정부 발표가 표본조사에 의한 예상치에 불과하고 추수때까지 기상변화에 따라 쌀 생산량이 더 증가할 여지는 분명 있다.
그러나 정부의 통계 발표는 믿을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농민들이 농정을 신뢰한다.
이희대(사회2부) hdlee@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