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신당추진위, '지역 경제살리기' 최우선

입력 2003-09-30 11:55:46

대구신당추진위가 대구경제살리기를 신당의 최우선과제로 선정했다. 지역 경제 회생이 뒷받침되지 않고서는 신당의 뿌리내리기도 힘들다는 판단에서다. 창당과 총선을 앞두고 경제를 제일의 화두로 설정함으로써 한나라당 일색인 지역 정치구도를 파고든다는 전략이다.

이강철 추진위 공동대표는 30일 오전 추진위 사무실에서 '대구경제 회생을 위한 특별기자회견'을 갖고 대구경제살리기를 신당의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고 밝히고 이를 위해 적극적인 대구경제살리기 프로그램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 첫번째 작업이 '삼성상용차부지 대기업유치위원회'구성을 대구시에 제안한 것이다. 이 대표는 민.관.산.학 등 전 분야의 중지를 모아 시민 여론을 한 데 모으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한 때문이다. 그는 시민 여론 지원의 중요성을 누차 강조했다. 괜한 특혜시비 등은 역외 자본의 역내 유입을 가로막는 장벽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또 정부 차원의 지원 문제는 자신이 발벗고 뛰어 반드시 성사시키겠다고 덧붙였다.

이 대표는 이날 회견에서 "대구경제를 살리고 그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대구의 차세대 경제를 담당할 첨단업종의 대기업을 유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외국 자본을 포함해 2, 3개로 협상 대상이 좁혀진 상태로 조만간 가시적 성과가 있을 것"고 강조했다.

그는 회견 직후 대구시청을 방문, 조해녕 대구시장과 면담을 하고 유치위 구성을 비롯한 지역 경제 살리기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신당추진위는 정치색을 띄지 않고 지역의 경제인, 교수, 전문가, 시민단체 등이 참여하는 '대구경제살리기운동본부'를 결성하여 대구경제활성화 방안을 수립하는 한편, 244개 수도권 소재 공공기관의 지역유치 운동도 펼쳐나가기로 했다.

이 대표는 "정부지원 자금과 정책이 지역에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도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겠다"며 "대구시가 재정경제부에 신청한 22개 지역특화 발전특구안이 최대한 반영될 수 있게 하는 한편, 10대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과 관련하여 지역 산업의 재편 방안에 대한 대책도 수립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대구신당추진위는 앞으로도 경제회생을 위한 창조적이고 효과적인 방안들을 제시하여 신당 바람을 일으킨다는 방침이다. 이동관기자 llddkk@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