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수첩-고혈압

입력 2003-09-25 09:13:06

고혈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평소 측정한 혈압이 조금 높지만 정상이라고 안심하게 되면 표적장기(심장.콩팥.눈.뇌 등)손상으로 인한 합병증이 조기에 올 수 있다.

또 혈압은 높을수록 신체적인 위험도가 증가하므로 혈압이 높아지기 전부터 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난 5월 미국 국립 심장.폐.혈액연구소 산하 '고혈압 교육프로그램 위원회'는 혈압 기준을 강화했다.

정상혈압 기준이 종전의 '수축기혈압 130㎜Hg 미만/확장기혈압 90㎜Hg 미만'에서, '120/80 이하'로 낮아졌다.

또 고혈압 기준(140/90 이상)에는 못 미치지만 새로운 정상혈압 기준치를 웃돌 때는 '고혈압 전단계'(수축기 121~139/확장기 81~89)로 지정했다.

따라서 이 기준에 속하는 사람들도 더 이상 안심할 수 없게 됐다.

고혈압은 아니지만 121/81㎜Hg 이상이라면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혈압이 더 이상 높아지기 전에 관리해야 한다.

또 고혈압으로 진단되면 되도록 빨리 치료를 시작하고 적정한 혈압에 도달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치료를 해야한다.

고혈압 전단계로 분류된 사람들은 심혈관계 질환 예방을 위해 생활요법이 필요하다.

체중을 줄이면 혈압을 낮출 수 있다.

10kg을 줄이면 5~20㎜Hg 정도 떨어지고 야채, 과일, 저지방 중심의 식이요법을 하면 8~14㎜Hg 정도 낮출 수 있다.

하루 염분 섭취량을 6mg 이하로 하면 2~8㎜Hg, 유산소운동을 하면 4~9㎜Hg, 소주 2잔 이하의 소량 음주를 하면 2~4㎜Hg 정도 감소한다,

또 심혈관질환은 혈압이 115/75㎜Hg에서 20/10 증가할 때마다 2배씩 늘어나며, 당뇨병이나 만성신질환이 있으면 130/80㎜Hg 이하를 유지해야 한다.

고혈압 전단계 혈압일 경우 심장병, 신부전증, 뇌졸중 등 심혈관 질환이 있거나 당뇨병이 있으면 혈압강하제로 약물치료를 받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고혈압 위험군에 속해 있는 사람들은 피로를 초래하는 과격한 운동.과음.과식.흡연 등을 삼가야 한다.

또 흥분.걱정.불안.정신적 충격 등이 있으면 혈압이 올라가므로 마음의 평정을 유지하고 긍정적인 사고를 하는 것이 좋다.

조봉기(경산 현대내과 원장)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