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다수 국민들은 현 의약분업 제도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전면개
정을 넘어 폐지, 선택적 분업 등 특단의 조치를 희망하는 국민도 상당수 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 이원형(한나라당) 의원은 최근 전문기관에 의뢰, '의약분업 평
가'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다수 국민들은 의약분업의 혜택이 별로 없고 그전
보다 오히려 의료비가 가중됐다고 느끼고 있다"고 22일 주장했다.
만20세 이상 전국 성인 남녀 1천28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를 통해 지난 15일부
터 이틀간 실시(포본오차 95%에 신뢰수준 ±3.06%)된 조사결과에 따르면 의약분업의
정착정도를 묻는 질문에 '시행착오를 겪고있다'가 72.3%, '전혀 정착되지 못하고 있
다'는 17.2%, '무리없이 정착됐다'는 10.2%로 각각 나타났다고 이 의원은 말했다.
의약분업 시행에 따른 최대 수혜자를 묻는 질문에는 약사가 41.6%, 의사가 38.3
%인 반면 제약회사와 국민은 각각 13.2%와 3.7%에 그쳤다.
의약분업의 최대성과랄 수 있는 오.남용 방지효과를 묻는 질문에도 '효과가 없
었다'가 49.6%로 '효과가 있었다'(38.8%)를 상회했다.
의약분업 시행 이후 가장 큰 불만사항으로는 '가벼운 증상에도 병원에 가야 한
다'가 45.4%, '병원, 약국을 다 들러야 해 복잡하다'가 35.3%, '의료비 지출이 늘었
다'가 13.3%, '약국이 멀어졌다'가 5.4%였다.
의약분업의 제도적 개선방안으로는 '부분적 보완 필요'가 56.1%로 가장 높았으
며 전면폐지(21.1%), 선택적 분업(14.4%)도 상당부분을 차지했다.
의료비 지출의 변화를 묻는 질문에 '높아졌다'는 응답이 73.2%로 대다수를 차지
했으며 '별 변화가 없다'는 응답은 24.2%, '줄었다'는 답은 2.2%에 불과했다.
의료기관 이용의 불편 정도에 대해선 '익숙하나 불편하다'가 52.1%로 다수였으
며 '불편이 없다'가 21.8%, '매우 불편하다'가 6.0%였다.
의료혜택에 있어서는 '별다른 변화가 없다'가 53.8%, '더 나빠졌다'가 36.1%로
'이전보다 더 좋아졌다'는 9.4%를 압도했다.
이 의원은 "국민들이 보다 편리하게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이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말했다.정치2부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