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교위 정책간담회,지역현안 논의

입력 2003-08-12 13:43:58

12일 국회에서 열린 건설교통위 조찬 간담회에서 몇 가지 지역현안에 대한 골격이 드러나 눈길을 끌었다.

경부고속철도 대구도심 통과구간 방식의 경우, 도심 40~50m 밑을 지하터널로 관통하는 '29km 직선 지하화 방안' 대신 기존 경부선을 개량해 운행키로 한 것과 고속철 대구~경주~부산 경유 운행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이었다.

또 대구 열차추돌 사건은 기관사.사령실 요원.역 운전 취급자 등이 운행방식 변경에 따른 안전수칙을 준수하지 않았기 때문에 빚어진 것으로 잠정결론을 내렸다.

○…최종찬 건교부 장관은 현안보고를 통해 "고속철 1단계 사업의 경우 서울~대구 구간은 신선으로 건설하되 대구이남 구간은 기존선을 개량할 방침"이라며 "특히 대구.대전 도심지도 기존선에 포함된다"고 밝혔다.

따라서 건교부가 지하터널 방식 대신 경부선과 고속철을 함께 지하화 하는 도심통과 방식을 선호하고 있지 않느냐는 관측을 낳았다.

국회 건교위 관계자는 "최 장관의 발언은 대구 정치권이 주장하는 5.8km 국철병행 지하화안이나 교통개발연구원이 제안한 3.2km+α안이 주요 대안으로 검토되고 있음을 우회적으로 시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 장관은 그러나 더이상 구체적 언급은 하지 않았다.

특히 건교부는 고속철 대구~경주 원칙을 분명히 했다.

건교부 관계자는 "지난해 6월 착공한 고속철 2단계 대구~부산 신선건설 공사 중 대구~경주 구간은 차질없이 공사중"이라고 말해 경주 경유 입장을 분명히 제시했다.

최 장관은 "내달 중 관계 장관회의 등을 거쳐 정부방침을 확정하고 공사를 재개하겠다"며 "지자체와 함께 홍보강화를 통해 공사재개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해 가겠다"고 말했다.

○…이근국 철도청 차장은 "대구 열차추돌 사건과 관련, 고속철 공사로 인한 운행방식 변경에 따른 안전수칙을 따르지 않은 기관사와 동대구역장 등 관계자 4명을 직위해제하고 사법처리와 별도로 조사결과에 따라 엄중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신영국 건교위원장은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사패산 구간, 경부고속철 대구이남 구간, 경인운하 건설사업 등 정부의 3대 국책사업이 계속 지연돼 경제적 손실이 막대하다"면서 조속한 사업재개를 촉구했고 한나라당 박승국 의원은 "철도노조의 총파업 등 어수선한 근무 분위기가 집중z이 요구되는 철도운송 업무를 흐려 놓아 결국 사고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쳤다고 본다"고 우려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