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선 하행선 고모역 인근 철로에서 일어났던 무궁화열차와 화물열차의 추돌사건은 한마디로 철도청의 총체적인 안전불감증에 의한 것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
대구지하철 대참사로 특히 철도안전문제가 사회이슈가 될만큼 철저한 점검을 그렇게도 강조했건만 결국 그 모든게 '지난가면 그만'이라는 불감증이 여전함을 여실하게 증명해준게 바로 이번 열차사고로 나타난 셈이다.
이번 사고도 관할책임인 철도청 부산사무소나 고모역, 동대구역, 경산역, 여객열차와 화물열차 기관사간의 통신만 원활하게 이뤄졌더라면 일어날 수 없었다는 점을 감안할때 참으로 안타깝기 짝이 없다.
사고규모에 비해 사망자 2명으로 그친건 그나마 불행중 다행이었다.
문제는 사고구간이 고속철도 공사구간으로 열차의 서행이 요구되는 곳이었는데다 신호체계변경 공사로 인해 종전의 자동신호체계 통과방식에서 통신체계로 바뀐 구간에 대한 대비가 거의 제로상태였다는 건 철도행정의 안전의식이 그만큼 해이해져 있음을 극명하게 드러났다는데 그 심각성이 있다.
이런 포괄적인 관점에서 철도청은 이번 사고의 원인을 철저히 점검, 어디에 구멍이 나있는지를 규명, 종사자들에 대한 재교육자료로 삼아야 할 것이다.
이번 사고원인을 보면 앞서가던 화물열차 기관사는 통신체계 통과방식을 잊어버리고 공사로 점멸하는 신호등에 맞춰 가다, 서다를 반복하다가 결국 뒤에서 오는 무궁화열차의 추돌을 자초한 것이나 다름없다.
또 무궁화열차 기관사는 종합사령실인 부산사무소와 고모역관계자들간의 통신혼선으로 정확한 정보도 없이 달리다 결국 사고를 냈다.
이는 철도청의 통신시스템에 근본오류가 있었다는 얘기가 된다.
따라서 경찰은 이번 사건의 원인을 철저히 가려 과실책임자에겐 일벌백계(一罰百戒)로 다스려야 할 것이다.
결국 이번 사고는 그동안 크고 작은 180여건의 사고를 대충 넘긴 결과의 소산이었고 더욱이 고속철 개통에 앞서 국민들의 철도불안을 더욱 키웠다.
철도청의 맹성을 촉구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