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세계속으로...-경북도 서울사무소

입력 2003-07-12 08:40:56

"경북과 서울을 잇는 가교(架橋)라고 자부합니다".

지난 97년 1월 문을 연 경북도서울사무소 김진오(51) 소장의 서울사무소에 대한 자평이다.

기업체의 서울지사처럼 지자체 서울사무소 설치에 대한 발상이 나온 것은 96년 시도지사 회의에서였다.

지방화 시대가 열려 지방민의 삶의 질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됐으나 껍데기 지방자치로 한계가 드러나자 수도권에 몰려 있는 정보에 대한 욕구가 오히려 커진 것. 각 지자체별로 중앙부처와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하고 정보를 수집해 시책에 반영, 지역 발전을 앞당기는 경쟁을 하자는 취지였다.

그러나 지방에서는 유일하게 대구만 서울사무소를 만들지 않았다.

문희갑 전 시장이 서울과의 협조를 자신해 필요없다고 인식한 결과라는 후문. 인천은 같은 수도권으로 가까워 굳이 서울사무소를 둘 필요가 없다고 판단해 최근 철수했다.

경북도서울사무소의 지난 6년여간의 활동을 살펴보면 눈에 번쩍 띄는 것은 많지 않다.

그러나 직원 5명이 각종 세미나에 참석해 고급정보를 관련 실국에 제공하고, 예산국회의 동향을 시시각각 지사에게 보고해 대책을 수립토록 하고, 중앙정부의 시책을 파악해 도정의 '코드'를 정부와 맞춰 예산따기 경쟁의 우위에 선 점 등의 가치는 수치로 산출하기 어렵다.

수도권에 사는 출향인사 수는 어림잡아 250만명. 직원 5명이 이들을 모두 관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사무관급 이상 공무원, 향우회, 국회의원과 보좌관, 언론인 등이 주요 관리 대상. 사무관급 이상 공무원 1천700명의 명단을 담은 수첩 제작은 자랑거리다.

경북도 각 담당자가 중앙 부처와 업무 협조를 하기가 쉬워졌을 뿐 아니라 중앙부처 사이에도 협조가 잘돼 반응이 매우 좋았던 것.2001년부터 매일신문사가 개최하고 있는 재경 대구·경북 신년교례회는 서울사무소에서 미리 출향인사를 관리하고 있어 풍성할 수 있었고, 최근 외국기업과 주한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경북투자유치설명회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한 데도 이들의 역할이 컸다.

김진오 소장은 대구시가 서울사무소를 만들지 않고 있는 점을 아쉬워 한다.

그는 "국회와 정부의 움직임을 재빨리 파악해야 시의적절한 시정을 펼 수 있다"며 "대구시가 서울사무소를 만들면 경쟁과 협조로 시너지효과가 생길 것"이라고 그는 말했다.

최재왕기자 jwchoi@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