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가 책을 읽으면 자연스레 아이들도 책과 가까워지게 마련이죠. 이젠 책을 잡았다하면 놓을 줄 몰라요. 아이들에게 책 읽는 습관을 길러주는 것이야말로 최고의 가정 교육 아닐까요?"
장맛비와 무더위가 오락가락하는 후텁지근한 날씨 속에서도 박성화(37.여.대구 신기동)씨 가족은 여름을 모르고 지낸다.
바로 책 읽는 즐거움, 독서삼매경에 빠져 살기 때문이다.
모였다 하면 책 이야기로 시작해 책 이야기로 끝내는 박씨 가족. 지난달엔 네 식구가 모두 70권의 책을 읽었다고 한다.
가족 가운데 책을 가장 많이 읽는 아들 형진(10)이는 학교에서 돌아오자마자 책부터 펼쳐든다.
일곱 살 때부터 혼자 책 읽기를 시작했다는 형진이는 요즘엔 일주일에 열권 정도는 너끈히 읽어낸다.
관심 분야는 역사. "사람 사는 이야기가 재미있어서"라고 했다.
"책에는 사람들의 마음이 나타나 있어 배울 게 많아요. 엄마 아빠가 책을 빌리거나 사 주면 부자가 된 기분이 들죠".
얼마전부터는 동생 고은(8.여)이도 책 속 세상으로 들어가는 즐거움에 빠져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지낸다.
TV 만화영화 따위에는 관심도 없다고 한다.
버스 운전을 하는 아버지 조동호(41)씨도 근무가 없는 날에는 독서 행렬에 동참한다.
건강, 한방, 원예 등 읽는 분야도 다양하다.
이처럼 책 읽는 가족이 된 데에는 어머니 박씨의 영향이 커 보였다.
"책 읽기를 좋아하다 보니 아이를 가졌을 때도 책을 놓지 않았죠. 아이들을 키울 땐 옆에 앉혀 놓고 읽어줬어요. 그랬더니 글자를 깨치자마자 알아서 책을 읽더군요". 박씨는 아이들이 책과 가까워지게 하려면 부모가 먼저 책을 곁에 두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고 했다.
부모가 평소 책 읽기를 소홀히 하면서 학원이다 뭐다 다른 사람 손에 맡기기만 해서는 결코 책을 좋아하는 자녀를 만들 수 없다는 것. 특히 부모의 욕심만 채우려고 억지로 책 읽기를 강요한다면 오히려 책에 대한 거부감만 키워 책과 멀어지는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하지만 집안 어디를 살펴봐도 독서가족 같다는 흔적은 쉽사리 찾을 수 없었다.
사방 벽이 책으로 둘러싸여 있다거나 곳곳에 책이 쌓여 있는 것도 아니었다.
책꽂이엔 도서관에서 빌린 듯한 책이 수십권 꽂혀 있을 뿐 그 흔한 위인전 전집 한질조차 없었다.
박씨의 설명은 명쾌했다.
"집이 좁아 읽은 책은 상자에 담아 베란다에 쌓아둡니다.
필요할 때 꺼내 보면 되지 책이 무슨 장식품은 아니잖아요".
그는 꼭 갖고 싶은 책은 사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인근 도서관을 이용해 빌려 읽는다고 했다.
가족 모두가 읽고 싶은 책을 평소에 기록해뒀다가 열흘에 한번 정도씩 도서관에 들러 한꺼번에 대출한다는 것. "책 읽는 것 자체가 즐거움이지 그 책이 내 것이냐. 또 어디서 읽느냐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애들도 굳이 내 책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고요. 무턱대고 책을 사주기보단 도서관 이용법을 가르쳐주고 함께 도서관을 찾는 게 더 좋은 공부 아닐까요".
자녀들에게 독서 습관을 길러준 방법을 묻자 박씨는 나름의 원칙들을 들려줬다.
처음에는 읽기 쉬운 책부터 읽힐 것. 글자가 깨알처럼 빼곡한 책보다는 만화나 글자가 큰 책을 통해 흥미를 갖게 하는 게 우선돼야 한다고 했다.
또 부모가 일방적으로 책을 골라주거나 책 읽는 방법을 가르치기보다는 스스로 판단하게 도와줘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독서를 학교 성적과 연관시키는 것은 금물. 책 읽기 습관은 상상과 현실 세계에 대한 구분이 뚜렷해지는 초등학교 3, 4학년 이전에 길러줘야 책이 주는 상상력을 계속 유지시켜 갈 수 있더라는 경험 이야기도 빼놓지 않았다.
박씨의 마지막 한 마디는 귀보다 가슴에 먼저 와닿았다.
"아이들이 책을 읽는 데 지식 쌓기나 공부 같은 특별한 목적을 두지 않습니다
그저 책을 통해 세상을 좀 더 잘 이해하고 남을 배려하는 자세를 배워 편견 없는 눈으로 아름다운 삶을 살아갈 수 있으면 하는 바람 뿐입니다".
최두성기자 dscho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