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운용 국회 진상조사

입력 2003-07-08 11:50:57

김운용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의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방해 논란에 대해 국회가 진상조사에 착수했다.

국회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지원 특위는 9일 오후 전체회의를 열어 관계자들의 증언을 청취한 뒤 동계올림픽 유치 실패의 책임 소재 규명과 후속조치를 마련하기로 했다.

그동안 진상조사에 소극적이었던 유치지원 특위가 전격 진상조사에 나서기로 한 것은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실패의 책임문제가 본질을 떠나 여야간 정쟁으로 변질되는 기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특위 위원장인 자민련 김학원 의원은 8일 "이번 파문은 김 의원 개인의 문제로 여야간 정쟁으로 비화돼서는 안된다는 원칙을 특위에서 합의했다"며 진상조사 착수 배경을 설명했다.

특위의 민주당 간사인 함승희 의원도 "김 위원이 민주당 의원이라고 해서 비호해서는 안된다"며 이 문제는 당의 이익 차원에서 접근할 사안이 아님을 분명히 했다.

따라서 특위에서 소속 의원들은 여야를 떠나 같은 보조를 취하면서 적극적으로 진상규명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번 진상조사가 여러 가지로 한계가 있어 완벽한 진상조사를 기대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가장 큰 문제는 당사자들의 말이 엇갈리고 있어 김 위원이 IOC 부위원장 출마 의사가 처음부터 있었는지 여부를 규명하기가 쉽지 않다.

이를 정확히 밝히기 위해서는 외국 IOC위원들의 증언이 있어야 하지만 이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처벌 등 사후조치를 어떻게 취할 것이냐 하는 것도 난제다.

김학원 의원은 "김 위원이 국회의원 신분이기 때문에 국회 윤리위원회에 제소하는 문제도 있지만 더 중요한 것은 IOC위원으로서 업무를 의도적으로 게을리했는지 여부"라면서 "국회의원으로서 체육 관계 공직의 사퇴를 요구할 수는 있으나 법적 구속력이 없어 정치도의적인 책임을 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2014년 재유치 문제도 걸림돌이다.

특위에서 김 위원의 방해 활동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김 위원은 도의적인 책임을 지지 않을 수 없고 이는 체육 관계 공직의 사퇴 등으로 이어지면서 재유치 활동에서 김 의원은 완전히 배제되는 것이 불가피하다.

이렇게 될 경우 재유치에 상당한 전력을 상실하게 되는 결과가 될 수 있다.

이런 문제 때문에 특위 관계자들은 매우 조심스럽게 접근하고 있다.

김학원 위원장은 "일단 진상부터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

그 전에 이러쿵 저러쿵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예단을 경계했다.

김 위원의 유치 방해설을 처음 제기한 김용학 한나라당 의원도 "사전에 어떤 시나리오로 특위를 여는 것은 아니다"면서 "사실관계가 파악되면 그때마다 국회 윤리위원회 제소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경훈기자 jgh0316@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