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온전기 회생, 이제부터 시작이다.
법원이 구미공단 오리온전기의 법정관리신청에 따른 회사정리절차 개시결정을 내림에 따라 오리온전기의 향후 진로는 일단 회생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오리온전기 노사는 법정관리 개시 결정 막판까지 법원이 추가적으로 요구한 강도높은 구조조정(구조조정규모 및 시기에 대한 계획) 등에 대한 동의서와 합의서 내용을 놓고 티격태격했었다.
'노사 합의'를 통한 구조조정을 주장하던 노조측이 '합의'에서 '협의'로 바꾸라는 법원의 요구를 받아들임에 따라 법정관리 개시 결정을 간신히 얻어낼 수 있었다.
사실 노조는 가령 퇴직을 할 경우 퇴직금이 1년내 지급이 안되는 경우에도 법적인 소송을 제기하지 않고, 또 회사잔류자는 퇴직금 지급으로 급여를 수령못해도 이의를 달지 않는다는 등의 내용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관계자는 "만약 회사가 청산될 경우 자사 직원들은 물론 협력회사들까지 유동성 위기에 몰려 결국 모두가 자폭하는 우를 범하지 않아야 한다는 대의명분으로 급기야 법원의 요구안을 최종 받아들이게 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지역 경제계에서는 이번 법원의 법정관리 개시 결정이 '오리온전기가 회생의 가치가 크기 때문이 아니라 청산하면 손실이 더 크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면서 회생을 위한 유일한 처방은 대규모 인원감축 등 뼈를 깎는 구조조정 뿐이라는데 이론의 여지가 없다.
재판부는 "현재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는 모니터용 브라운관(CDT) 생산라인을 단계적으로 폐쇄하는 등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통해서만이 경영정상화가 가능하다"면서 "향후 1년여동안 몸집줄이기와 주문량 회복 등 수익을 낼 수 있는 구조로 재편되는지 여부를 지켜본 뒤 법정관리 여부가 최종 결정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이처럼 오리온전기 노사는 현재 전체 2천200명의 직원들 중 얼마만큼 도려내야 하고, 무려 1조2천억원에 달하는 부채규모를 어떻게 갚느냐는 등의 자구계획을 충실히 실천해야 하는 절박한 상황에 놓여있다.
브라운관에 사용되는 섀도마스크·유리 등 부품을 공급받으면서 채무관계인 LG마이크론, 한국전기초자, 삼성코닝 등 협력업체들과의 미수채권에 대한 고민도 계속해야 한다.
여기다 앞으로 대대적인 라인축소와 통폐합 등 몸집줄이기와 함께 지난 90년대 중반이후 중국 동남아 등 후발국들의 추격속에 힘든 싸움을 하고 있는 기존 브라운관 생산 체계를 과감히 깰 수 있을 지 여부도 중요한 과제다.
사실상 지금까지 회사 안팎에서는 유기EL 사업과 초박막액정표시장치(TFT-LCD), 액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등의 수익성 있는 고부가 첨단 디스플레이 제품군으로의 급선회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돼 왔었다.
김관용 구미시장은 "구미공단에 본사를 두고 지역발전에 크게 기여해 온 오리온전기의 법정관리 체제는 수백개의 협력업체 근로자들의 생존권이 달려 있고, 지역경제가 '죽느냐 사느냐'를 판가름내는 중요한 분수령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향후 법원에서는 조사위원을 선임해 오리온전기에 대해 청산가치와 계속기업가치를 판단해 정리절차를 계속할 것인지 결정하고 이를 검토해 최종 법정관리인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구미·김성우기자 swkim@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