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철도노조 잇단 파업

입력 2003-07-04 09:17:10

5월 화물연대 파업과 6월 철도노조 파업에 이어 7월 화물연대의 재파업 경고 등 다달이 물류불안 요인이 등장하면서 일선 기업체들이 생산과 판매계획을 수시로 변경하는 과정에서 막대한 경영 차질을 빚고 있다.

포항공단에서는 지난 4월30일부터 열흘간 계속된 물류파업으로 큰 손실을 입었던 몇몇 업체들이 일부 출하물량의 철도수송 전환을 검토하던 중에 철도노조의 파업사태를 맞아 이같은 계획을 전면 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모업체 출하담당 임원은 "육송(陸送)은 화물차 뿐만 아니라 택시, 버스 또는 고속도로 점거 등 부분적인 사태로도 마비 가능성이 높아 상대적으로 안정성이 높은 철도로의 전환을 내부적으로 검토했으나 없던 일로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다른 업체의 조업담당 간부는 "열차운행 중단 4일만에 체화물량이 1만t을 넘었다"면서 "물량을 적기에 수송하지 못하면 기업의 고객신뢰도는 수직강하할 수밖에 없다"며 수송차질에 따른 직간접 피해를 호소했다.

출하차질로 고민하는 기업들에게 화물연대의 재파업 방침은 더욱 큰 걱정을 안겨주고 있다.

전국운송하역노조와 화물연대는 전국화물자동차운송사업조합연합회와의 중앙교섭과 컨테이너 등 일부 업태별 교섭이 난항을 겪자 재파업 방침(본보 6월28일자 보도)을 밝힌 뒤 철도노조에 대한 지원투쟁 차원에서 파업시기를 앞당기기로 했다가, 1일 철도노조의 파업철회 가능성이 재기되자 다시 자체 일정으로 복귀해 이달 10일을 전후한 시점에서 전면 파업을 검토중인 것.

이처럼 물류파행과 수송불안 우려가 더해지자 포항공단 일부 업체들은 수도권, 중부권, 부산·경남권 등 주요 거점을 정해 일부 물량을 조기출하하거나 수요가와의 협의를 통해 납기를 조정하는 등 화물연대 재파업 대책수립에 착수했다.

그러나 "조기출하도 한계가 있고 주요 거점까지 실어다 놓더라도 일단 파업에 들어가면 최종 수요가의 손에 전달해 줄 방법이 없는 게 현실"이라는 한 공단업체 대표의 말처럼 대다수 기업들이 또 한차례 물류마비 가능성에 떨고 있다.

포항·박정출기자 jcpark@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