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게 '약점 공개운동' 아니길

입력 2003-07-02 11:53:59

개혁성향의 시민단체 '국민의 힘'이 국회의원 바로알기 운동을 시작하면서 1차로 8명에게 공개질문서를 보낸 그 내용에서부터 냄비 부딪치는 소리가 나오는 게 예사롭지 않다.

더구나 이 네티즌 모임이 노사모에 386 등 사회개혁의 행동적 의사를 가진 그룹들이 만들었고, 그래서 '정치적 편향성'의 논란이 제기된 상태에서 나온 마찰이어서 향후의 파열음이 걱정스런 것이다.

우리는, 이런 유(類)의 단체들이 정치적 행보를 하면서 그룹간 견해의 충돌이 커질 수 있으며, '말없는 다수'를 불편하게 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함께 걱정하고자 한다.

우선 이들의 논의가 생산적이어야겠다는 것이다.

보도된 것 중 '국민의 힘'측이 해당의원들에게 보낸 질문내용이 맞다면 의원 개인에 대한 비판 일변도의 질문같아서 공정성과 합리성에 면밀한 점검이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답변여하에 따라선 약점잡히기 딱 알맞은 질문뿐이면 질문자와 답변자의 이성적 반응은 어려워진다.

답변해도 손해고 안해도 손해라면 긍정적인 쌍방통행이 아니라 부정적·일방통행이 될 수밖에 없고, 그것은 '국민의 힘'이 의도하는 바도 아니게 될 것이다.

국회의원들은 또한 개개인으로 보면 각자 '지역대표'이지 전국대표가 아닐 터이다.

그를 뽑아준 지역민들은 그의 정치적 행보에 대한 관심보다도 '지역을 위한' 그의 의정활동의 공과(功過)에 더 관심을 가질 건 당연하다.

지방자치·지방분권을 역설하면서 정작 국회의원 개개인을 평가하는 시민단체들의 시각은 중앙집권적이지 않나 되돌아볼 필요가 그래서 있다.

내년 총선을 앞둔 시민단체들의 행보가 보다 냉정하길 주문한다.

보·혁의 충돌이 아니라 보·혁의 경쟁을 기대하기 때문이다.

특정인·특정세력에 대한 '네거티브'한 언행과 개입은 문제있다.

노무현 대통령도 개혁의 뜻과 의지는 좋았으나 언행에서부터 너무 튀다가 '브레이크'가 걸리고 국민들에겐 불안감을 주었다.

누구든, 정치적 언행에는 '상대방'이 있음을 읽어야 하는 것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