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완 미스터리'도 特檢 몫

입력 2003-06-28 10:22:04

'김영완 미스터리'중 100억원대 강탈사건에 대한 경찰의 해명은 오히려 의혹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다.

경찰의 감찰결과 발표내용은 진실이라 믿기 어려운 대목이 많다.

이를 요약하면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실에 파견된 박모 경위(현직 경감·DJ사저 경비대장)가 평소 친분이 있는 김영완씨의 부탁을 받고 당시 치안감인 경찰청 수사국장(현 경기청장)에게 전화를 걸어 김씨집의 거액 도난사건을 극비리에 수사해 달라는 요청에 따라 호텔에서 피해자의 진술도 받고 수사도 진행하면서 상부에 보고도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우선 박 경위가 아무리 청와대에 파견된 파워가 있는 직급이라 해도 계급조직인 경찰의 특수성을 감안할 때 일개 경위가 치안감인 본청 수사국장에게 전화 한 통화로 모든게 일사불란하게 진행됐다는 건 상식적으로 납득이 가지 않는다.

이게 사실이라 쳐도 우리 경찰조직이 도대체 어떻게 됐길래 '특정인'의 하수인이나 탐정노릇을 할 정도로 전락할 수 있으며, 이런 행태를 저지른 경찰조직이 국가공권력으로 자처할 수 있으며, 청와대 파견 경찰의 한마디에 경찰 수뇌부가 쩔쩔맬 수 있는지 한마디로 한심하기 짝이 없다.

또 이와는 별도로 이대길 당시 서울 청장이 서대문 서장에게 청와대 일이라며 극도의 보안을 지시하며 극비수사를 지시했다는 대목은 도대체 어찌된건가. 분명 문제의 박 경위는 서울청장에겐 사전에 전화한 적이 없다고 했다.

그럼 당시 서울청장은 누구의 지시에 의해 움직인건지 그에 대한 해명은 왜 없는가. 결국 이번 경찰의 감찰결과 발표도 처음부터 청와대 박 경위 위에서 조종한 '어떤 인물'을 보호하기 위한 위장극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이 문제에 있어서 지금 가장 유력하게 추론되는 인물은 역시 박지원 전 장관이란 의혹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우선 박 경위가 고속승진 등의 특혜를 준건 박 전 장관의 배려였다는 경찰관계자의 증언이 있는데다 문제의 김영완씨는 바로 박씨의 150억원 자금세탁혐의를 받고 있고 박 전 장관뿐 아니라 구여권 실세들과 친분이 두터운 인물이라는 그의 배경과 행적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문제는 경찰이나 검찰이 김씨의 돈이 '검은 돈' 이라는 의혹을 가지고도 누구도 그 돈의 실체 규명엔 접근조차 하지 않았다는 점도 의혹이다.

따라서 이런 형편 없는 짓을 한 경찰에 대한 책임 추궁과 더불어 '김영완 미스터리'도 이젠 특검수사로 명백하게 밝혀야 할 '국민적 의혹'이다.

최신 기사